논문 상세보기

시설유형별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안정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노인요양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 비교 - KCI 등재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Work Stability of Nursing Care Workers by Facility Typ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5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관련 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그리고 근무안정성과 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며 특히 관련 시설 중 노인요양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을 대표하는 주야간보호센터를 비교 분석하고 자 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관련 시설 요양보호사의 근무안 정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향상 및 고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운영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 관 련 시설별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안정성과의 관계에 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노인 요양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810명 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를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학 력, 직무만족도가 근무안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 므로, 학력별 근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직무만족도가 낮은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근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시설과 노인요양시설 모두 직무만족도는 근무안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요양보호사의 근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 무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시설 유형별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안정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가 나타났으므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 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노인장기요양 관련 시설별 요양보 호사들의 근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직무만족도 수준의 향상과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work stability of nursing care workers in facilities related to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ct for the Elderly, and in particular, compares and analyzes day and night care centers representing elderly care facilities and home-based elderly welfare facilities among related facilities. In order to ease the work stability of nursing care workers in facilities related to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ct for the Elderly, we would like to present specific operational strategie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nursing care workers and secure stability in employment. This study conducted a self-written survey of 810 nursing care workers working at senior care facilities and home care welfare facilities in Seoul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work stability of nursing care workers in each facility related to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the case of elderly care facilities, academic background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ffected work stability, so efforts to increase work stability by education and intervention efforts to improve work stability for nursing care workers with low job satisfaction are needed.Secon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ork stability in both home-based welfare facilitie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so job satisfaction should be improved to increase work stability of nursing care workers. Third, since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work stability of nursing care workers by facility type, a program to improve self-efficacy is needed.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programs to improv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re needed to increase the work stability of nursing care workers in each facility related to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개념
    2.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3. 직무만족도
    4. 자기효능감
    5. 근무안정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4. 연구결과
    4.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유연서(진효요양보호사교육원 원장) | Yoo Yeonseo (Jinhyo Care Helper Education, Der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