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양보호사의 코로나 19 인지도 및 감염병 스트레스, 감염 예방행위가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Care Workers' COVID 19 Awareness, Infectious Disease Stres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7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19를 비롯하여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신종감염병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의 코로나 19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감염병 안전관리 활동 촉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진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요양보호사 302명으로 자 료수집은 2022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 다.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코로나 19 인지도(r=.420, p<.001), 감염 예방행위(r=.585 p<.001)와 양의 상관관계 를 보였고,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으로 코로나 19 인지도(β=.331, p<.001)와 감염 예방행위(β=.529, p<.001)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4.3%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촉 진시키기 위해서는 코로나 19 인지도와 감염 예방행위를 고려한 환자안전관리 활동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care workers and to explore strategies to promote these activities so that they can actively respond to new infectious diseases that may occur including COVID 19. The subjects were 302 care worker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31, 2022. Data were analyzed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9.0.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positive correlated with COVID 19 awareness(r=.420, p<.001)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r=.585 p<.001).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COVID 19 awareness(β=.331, p<.001)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β=.529,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4.3%.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romote the activitie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o develop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education program that consider COVID 19 awarenes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 도구
    2.4. 자료분석
    2.5. 윤리적 고려
3. 결과 및 고찰
    3.1. 코로나 19 인지도 및 감염병 스트레스,감염 예방행위, 환자안전관리 활동
    3.2. 요양보호사의 인구학적 특성 및 인구학적특성에 따른 코로나 19 인지도, 감염병스트레스, 감염 예방행위,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차이
    3.3. 코로나 19 인지도, 감염병 스트레스, 감염예방행위,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의 상관관계
    3.4.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
    3.5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순옥(신한대학교 간호대학 부교수) | Soon-Ock Kim (Department of Nursing Shinh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