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남 나주-영암지역의 영산강 하류 시추퇴적물의 퇴적환경과 지구화학적 특성 KCI 등재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Geochemical Characters of the Core Sediments Near Naju-Yeongam Area in the Lower Part of the Yeongsan River, Cheonnam,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2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나주-영암 인근인 영산강 하류 부근의 3개소에서 채취된 시추퇴적물의 수직적인 퇴적환경과 지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이들 시료를 대상으로 퇴적물의 입도 분포와 금속원소의 함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추퇴적물의 심도에 따른 입도는 잔자갈에서 니질에 이르고 상향세립화의 특성을 가진다. 퇴적물의 분급도는 poorly sorted에서 very poorly sorted로 불량하게 나타났으며, 왜도는 대체로 양의 왜도가 우세하였다. 퇴적물의 입도별 분포상에서 연구지역의 퇴적층은 사행천을 이루는 하성층으로 생각된다. 지구화학적 원소들의 거동은 일부 시추퇴적층 입도의 상향세립화에 대한 의존도가 영향을 주기는 하였으나 탄산염 함량변화 등을 포함하는 환경적 변화에 의한 조절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퇴적물에 함유된 금속원소들의 농축을 알아보기 위한 부화지수의 분석결과는 유의할 정도의 부화가 관찰되지 않아 특정 금속원소에 의한 농집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To consider the vertical variation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geochemical characters in the core sediments in Naju-Yeongam area od the lower part of Yeongsan River, grain-size and metal components of the sediments were analyzed. The sediments are pebble to mud and show fining upward. The core sediments are poorly to very poorly sorted and positively skewed. On the basis of grain size distributions, the sediments of the study areas were thought to have been deposited in a meandering stream. The metallic contents of sediments were presumably controlled by carbonate contents of sediments and weakly controlled by fining upward grain size distribution pattern. Enrichment factors indicating metal concentration in the sediments did not suggest any meaningful concentrations for metallic elements.

저자
  • 은고요나 | Eun, Go-Yeo-Na
  • 고영구 | 고영구
  • 윤석태 | 윤석태
  • 오강호 | 오강호
  • 김동주 | 김동주
  • 김주용 | 김주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