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tudent Team-Achievemenl Division(STAD) 모형의 협동학습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천문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STAD Model on High School Student' Learning Achievement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the Field of Astronom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2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천문영역에서 STAD 모형의 협동학습이 고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천문영역에 있어서 향상 점수에 근거한 협동 학습과 교사 주도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통적 학습 사이의 영향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2개 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의 학생들은 협동학습 방법으로 주당 4시간씩 4주 동안 수업을 받았다. 협동학습을 받는 동안에 학생들은 매주 ‘태양계 탐사와 별’ 단원에 대한 형성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위의 두 가지 접근 방법은 학생들의 천문학적 지식에 있어서 상당히 다른 영향을 주었으며, 학생들이 전통적인 학습방법보다는 협동적인 학습방법에 보다 긍정적인 과학적 태도를 취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협동 학습은 천문학적 지식의 학습과 과학적 태도에 있어서 전통적인 학습보다 보다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perative teaming through student team-achievement division (STAD) model on high school students’ leaming achievement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the field of astronomy. It is another aim to compar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improvement scores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done only by teachers in astronomy f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wo tenth grade classes in a boy’s high school in Incheon. Students had four classes a week in cooperative learning way for four week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formative evaluation was given to students every week oil Stars and Exploring the Solar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se two approaches have great different effects on students’ astronomical knowledge and that students adopt more positive scientific attitude toward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than traditional ones. In conclusion, the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effective and positive than traditional one in learning astronomical knowledge and i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for science classes.

저자
  • 박홍서(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학과) | Park, Hong-Seo
  • 조용구(계산고등학교) | 조용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