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릉과 원주지역의 야간 오존 변화에 대한 분석 KCI 등재

The Analysis of the Nocturnal Ozone Variations over Kangreung and Wonju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4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논문은 강릉과 원주지방의 오존의 일변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원주지방의 오존의 일변화는 대도시 지역에서 관측되어지는 오후에 최대치, 일출부근에 최소치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강릉지방의 일변화에서는 오후에 최대치를 보여주나 새벽 3시경이 2차 극값이 관측되어졌다. 3차 극값의 경우 오후 최대 값보다 높은 값이 종종 관측되어졌다. 이와 같은 새벽에 발생하는 오존 상승은 일년 내내 관측되어졌으나 그 양과 범위에서 봄철이 가장 뚜렷하였다. 이와 같은 새벽 오존 상승에 대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상인자와 오존의 상관관계와, HYSPLIT모델을 이용하여 공기의 기원을 조사하였다. 새벽 오존 농도 상승이 나타나는 날은 바람이 강하고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날이었다. 새벽오존 농도 상승이 일어날 때 모델을 이용한 공기의 기원을 분석해본 결과 서풍이 불면서 하강운동이 동반한 경우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편서풍이 강하게 부는 봄철에 대도시가 밀접한 강릉의 서쪽 지역에서 이동되어온 오존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이런 경우 밤에도 바람이 강하게 불어 강력한 혼합현상에 의해 오존이 풍부한 대기 상층의공기가 하부로 유입되면서 지표 부근 오존의 양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aily ozone variations over Kangreung and Wonju. It was found that the diurnal cycle of ozone over Wonju has a primary ozone peak in the afternoon and a minimum around sunrise, which is a typical diurnal ozone cycle observable in the urban area. However, the cycle over Kangreung shows a primary peak in the afternoon and secondary peak around 3 a.m. The amounts of ozone in the secondary peak is occasionally higher than that in the primary peak. This nocturnal ozone peak is frequently observed year-round, and the highest frequency and extent are observed in spring. The possible cause of this nocturnal ozone increase was investigated using meteorological parameters and the HYSPLIT trajectory model. It was found that the nocturnal ozone peak is highly correlated with strong wind speed, which has led to positive temperature anomaly. The trajectory model revealed that when the secondary peak occurred, the air was originated from the west and a sinking motion subsequently followed.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when the westerly wind is strongest in spring, the polluted airs from urban areas are transported to the upper boundary layer over Kangreung area. In the case of strong wind during the night, nocturnal ozone peaks were produced by active vertical mixing between lower boundary and upper boundary layers.

저자
  • 김현숙(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Kim, Hyun-Sook
  • 이현진(부산대학교 대기환경학과) | 이현진
  • 김재환(부산대학교 대기환경학과) | 김재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