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기와 물의 순환' 관련 개념들에 대한 과제 상황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응답의 일관성 KCI 등재

The Consistency of High school Students Responses Concepts of 'Atmospheric and Water Cycle' according to Task Contex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4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기와 물의 순환 개념에 대해 과제 상황(과학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에 따른 지식의 출처와 응답에 상황 의존성이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황 의존성과 학습자의 인지 양식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과제 상황에 따른 지구과학적 문제 해결 검사지와 인지 양식 검사지(GEFT)가 사용되었다. 지구과학적 문제해결 검사 문항은 동일한 개념에 대해 과학적 상황 10문항, 일상적 상황 10문항으로 총 10쌍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검사 문항은 지식의 출처를 선택하는 하위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상황에 따른 학생들의 지식의 출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과학적 상황과 관련된 문항에서는 ‘학교에서 과학수업시간’을 그리고 일상적 상황과 관련된 문항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이 주된 지식의 출처였다. 둘째, 과제 상황에 따른 응답의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상황에서 일치하는 응답 수를 일치 점수로 나타내어 비교한 결과, 불일치 점수가 일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p〈.01). 따라서 과제 상황에 따른 응답은 일관성 없으며 상황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장의존형 학생은 장독립형 학생에 비해 일치 점수가 낮음을 보였는데 이는 인지 양식에 따라 상황의존성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nowledge sources and of high school students' responses on tasks in scientific context and tasks in everyday context, and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istency of responses and cognitive style. One hundred fifteen students participated in study. The students were asked to solve ten paris of problems about several concepts of circulation of atmosphere and water. Each pair of the problems consisted of two questions which were about the same concept but were about different context. That is to say, one questions related to scientific context and the other related to everyday context. Every questions included one subquestion in other to investigate the students' sources of knowledge. The students' responses on two questions in each problem were analyzed in order to compare the sources of knowledge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task contex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knowledge sources varied by task contexts. That is to say, the students selected 'Science activities in school' as main source in questions related scientific context and chose 'Experience in daily life' as main source in questions related to everyday context. Second, inconsistency score on all paris of proble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sistency score (p〈.01). This result indicated students' responses were much dependent on context. third, field-dependent students were more dependent on context, considering higher inconsistency score than field-dependent ones.

저자
  • 정진우(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Jeong, Jin-woo
  • 장명덕(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장명덕
  • 남윤경(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남윤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