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남동부 경상분지의 동부에 위치한 언양 지역 일대에서 양산 단층대에 대한 물리 탐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물리 탐사의 종류는 중력과 전기비저항 탐사이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행된 항공자력탐사자료를 분석하였다. 양산 단층대 중 언양 지역을 가로지르는 2개의 측선을 따라 총 71개 측점에서 중력을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위치에서 쌍극자배열을 이용한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 지역의 광역적인 지질구조를 살펴보기 위하여 항공 자력 탐사자료를 분석하였다. 탐사 결과는 예상 단층선을 따라 동서지역의 전기 비저항, 밀도 및 자력의 분포가 서로 다른 양상으로 발달하여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탐사 지역을 가로지르는 단층의 모습은 수직으로 잘 발달되어 있으며, 단층선을 따라 파쇄대가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중력 자료의 경우 탐사지역의 북쪽에 비해 남쪽에서 단층 반응의 크기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성과는 앞으로 양산단층의 특성을 연구하는 다른 연구들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We have performed multiple geophysical surveys comprised of gravity, magnetic and resistivity methods at the Yangsan fault zone which runs through the Eonyang area, the eastern part of Kyeongsang in southeast Korea. The gravity and magnetic data provide information about geological structures. Furthermore, sections of electrical resistivity show the sharp contrast of electrical resistivity distribution across the fault zone. Since the fractured zone tends to be more conductive than fresh host rocks,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s effective in determin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ault zone. We have made gravity measurements at a total of 71 points alongside two profiles across the fault zone, and carried out an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with a dipole-dipole array at the same location using 40m dipole length. In addition, we have analyzed the aeromagnetic data on the corresponding area. The multiple geophysical properties appear to be abruptly changed in electrical resistivity, gravity and aeromagneticclearly show the different appearance across the fault zone. The fault is identified by its sub vertical attitude which is well known in the Yangsan fault zone. We have also confirmed that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of the fault is much larger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urvey area than the northern area. These results most likel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further studies about the physical properties and the structures at the Yangsan 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