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04년 부산지역 미세먼지(PM10, PM2.5) 중의 금속 농도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Metallic Elements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s(PM10, PM2.5) at Busan in 2004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4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부산지역에서 PM10 과 PM2.5중의 금속 성분 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4년 3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조사하였다. PM10의 평균농도는 58.2μg/m3 농도범위는 8.3~161.1μg/m3이었으며, PM2.5의 평균농도는 29.3μg/m3, 농도범위는 2.8~65.3μg/m3였다. PM10의 평균 질량농도는 황사시 121.5μg/m3, 비황사시 56.0μg/m3로 나타났다. 10 이상의 지각농축계수를 보인 성분은 Cd, Cr, Cu, Ni, Pb 및 Zn로서 인위적기원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PM10과 PM2.5 중 미량금속 성분의 지각농축계수는 황사시보다 비황사시에 높게 나타났으며, 인근의 공단지역으로부터 인위적 오염물질이 수송된 것으로 추정된다. PM10과 PM2.5의 토양입자의 평균 기여율은 각각 15.2%와17.5%였다. 토양기여율의 황사/비황사비는 PM10과 PM2.5에서 각각 1.9와 2.1로 나타났다.

[ PM10 and PM2.5 ] aerosols were collected at Busan from March, 2004 to December, 2004, and the concentrations of some metal elements were chemically analyzed to study their characteristics. The mean concentration of PM10 was 58.2μg/m3 with a range of 8.3 to 161.1μg/m3. The mean concentration of PM2.5 was 29.3μg/m3 with a range of 2.8 to 65.3μg/m3. The mean mass concentrations of Asian dust and non Asian dust in PM10 were 121.5μg/m3 and 56.0μg/,3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f crustal enrichment factors for six elements (Cd, Cr, Cu, Ni, Pb and Zn) were all higher than 10, possibly suggesting the influence of anthropogenic sources. The crustal enrichment factors of some heavy metal elements in non-Asian dust (NAD) were higher than those in Asian dust (AD), possibly due to anthropogenic emissions transported from industries around this area by westerly wind. The soil contribution ratios for PM10 and PM2.5 were 15.2% and 17.5% on the whole. and those of AD/NAD for PM10 and PM2.5 were 1.9 and 2.1, respectively.

저자
  • 전병일(신라대학교 환경공학과) | Jeon, Byung-Il
  • 황용식(인제대학교 부산) | 황용식
  • 이혁우(백병원 산업의학교실 및 산업의학연구소) | 이혁우
  • 양아름(장영실과학고등학교) | 양아름
  • 김현정(장영실과학고등학교) | 김현정
  • 설재환(장영실과학고등학교) | 설재환
  • 강영진(장영실과학고등학교) | 강영진
  • 김택훈(장영실과학고등학교) | 김택훈
  • 장현석(장영실과학고등학교) | 장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