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는 다양한 대기 변수들의 영향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비선형성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역학 모형을 통해 예측된 강수의 보정은 비선형 모형인 인공 신경망 등을 통해 가능할 것이지만, 인공 신경망의 경우 초기 가중치 선택, 지역 최소화 문제, 뉴런의 수 결정 등의 문제로 인한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다중 선형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CGCM에 의해 모사된 강수를 보정하였으며, 예측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우선 PNU/CME 접합 대순환 모형(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 CGCM)(박혜선과 안중배, 2004)을 이용하여 1979년부터 2005년까지 매해 4월부터 8월까지 5개월간 앙상블 적분을 하였다. 적분 결과 중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110˚E-145˚E, 25˚N-55˚N)의 여름철인 6월(리드 2), 7월(리드 3), 8월(리드 4) 및 여름철 평균인 JJA(from June to August) 기간의 PNU/CME CGCM에 의해 모사된 강수를 보정하기 위해 다중 선형 회귀(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를 이용하였다. PNU/CME 접합 대순환 모형의 결과 중 강수, 500 hPa 연직 속도, 200 hPa 발산장, 지상 기온 등의 예측 인자와 관측 강수와의 선형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MLR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을 수행하여 PNU/CME 접합 대순환 모형의 결과와 교차 검증 결과를 비교하였다. 상관계수, 적중률 (hit rate), 오보율(false alarm rate) 그리고 Heidke 기술 점수(Heidke skill score) 등을 살펴본 바, 보정하지 않은 모형의 결과에 비해 MLR 모형을 이용하여 보정한 결과의 강수에 대한 예측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Because precipitation is influenced by various atmospheric variables, it is highly nonlinear. Although precipitation predicted by a dynamic model can be corrected by using a nonlinear Artificial Neural Network, this approach has limits such as choices of the initial weight, local minima and the number of neurons, etc. In the present paper, we correct simulated precipitation by using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method, which is simple and widely used. First of all, Ensemble hindcast is conducted by the PNU/CME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 (CGCM) (Park and Ahn, 2004) for the period from April to August in 1979-2005. MLR is applied to precipitation simulated by PNU/CME CGCM for the months of June (lead 2), July (lead 3), August (lead 4) and seasonal mean JJA (from June to August) of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110˚-145˚E, 25-55˚N). We build the MLR model using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observed precipitation and the hindcasted results from the PNU/CME CGCM. The predictor variables selected from CGCM are precipitation, 500 hPa vertical velocity, 200 hPa divergence, surface air temperature and others. After performing a leave-oneout cross validation,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NU/CME CGCM's. The results including Heidke skill scores demonstrate that the MLR corrected results have better forecasts than the direct CGCM result for rainf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