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도권과 경상 분지 동부 지역 지각의 Q 값 비교 분석 KCI 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the Q Value between the Crus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Eastern Kyeongsang Bas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6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수도권과 경상 분지 동부일대의 98 개 지진자료에 확장 Coda 규격화법을 적용하여 QP-1과 QS-1을 구하였다. 중심 주파수 1.5 Hz에서 24 Hz로 증가할수록 수도권 일대의 QP-1은 (4.0±9.2)×10-3에서 (4.1±4.2)×10-4로 QS-1은 (5.5±5.6)×10-3에서 (3.4±1.3)×10-4로 감소한다. 경상분지 동부일대의 QP-1은 (5.4±8.8)×10-3에서 (3.7±3.4)×10-4로 QS-1은 (5.7±4.2)×10-3에서 (3.5±1.6)×10-4로 감소한다. 수도권 일대의 결과를 주파수의 지수형태로 나타내면 QP-1와 QS-1는 0.005f-0.89 와 0.004f-0.88이며, 경상분지 동부 일대에서는 0.007f-1.02와 0.006f-0.99로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이는 QS-1는 두 지역이 거의 유사하나 QP-1값이 경상 분지 동부 일대가 수도권 일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마도 경상분지 동부 지역의 지각이 지진학적으로 불균질성이 다소 더 크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세 계의 여러 다른 지역의 값과 비교해 보면 수도권 일대와 경상 분지 동부 일대 지각은 모두 순상지의 범주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낸다.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eastern Kyeongsang Basin, we simultaneously calculated QP-1 and QS-1 by applying the extended coda-normalization method for 98 seismograms of local Earthquakes. As frequency increases from 1.5 Hz to 24 Hz, the result decreased from (4.0±9.2)×10-3 to (4.1±4.2)×10-4 for QP-1 and (5.5±5.6)×10-3 to (3.4±1.3)×10-4 for QS-1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of eastern Kyeongsang basin also decreased from (5.4±8.8)×10-3 to (3.7±3.4)×10-4 for QP-1 and (5.7±4.2)×10-3 to (3.5±1.6)×10-4 for QS-1. If we fit a frequency-dependent power law to the data, the best fits of QP-1 and QS-1 are 0.005f-0.89 and 0.004f-0.88 in Seoul metropolitan Area, respectively. The value of QP-1 and QS-1 in the eastern Kyeongsang basin are 0.007f-1.02 and 0.006f-0.99, respectively. The QS-1 value of the eastern Kyeongsang basin is almost similar to Seoul metropolitan area. But the QP-1 value of the eastern Kyeongsang basin i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may be that the crust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Kyeongsang basin is seismologically more heterogeneous. However, these QP-1 values in Korea belong to the range of seismically stable regions all over the world.

저자
  • 박윤정(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ark, Yoon-Jung
  • 경재복(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경재복
  • 도지영(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도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