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Study of the Organization and the Examination System of Gwansanggam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Astronomy Division
조선(朝鮮)시대 관상감(觀象監)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수(曆數), 점산(占算), 측후(測候)등의 업무를 관장했던 왕립기관이었다. 그 왕립기관은 학문에 따라 천문학(天文學), 지리학(地理學), 그리고 명과학(命課學) 세 개의 부서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그 중 천문학 부서는 오늘날 지구과학의 학문 분야들과도 일맥상통하는 업무들을 수행했었다. 본 논문에서는 천문학 부서를 중심으로 관상감의 직제와 시험제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상감은 조선시대 왕립기관들 중의 하나였기 때문에 직제, 기능, 그리고 과거시험(科擧試驗)에 관한 규정들은 그 시대에 발간된 법전들에 법으로 명시되어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법전들, 관서지들, 그리고 실록(實錄)의 기록들에 대한 연구로부터, 먼저 우리는 관상감은 인원수의 규모면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것 보다 더 큰 규모임을 알았다. 왜냐하면 관상감 인원의 추정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 있어서는 서리(胥吏), 관노비, 장인(匠人)등과 같은 하급계층들은 무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는 관상감 관원이 되기 위한 과거시험에 사용된 천문학 교재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내용에 있어서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도는 과거시험에 사용된 천문학 교재들에 대한 체계적인 첫 번째 연구이다. 마지막으로, 관상감을 포함한 당시 예전(禮典)에 속했던 기관들의 과거시험에 적용되었던 몇 가지 시험 규정들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Gwansanggam(觀象監) was a royal office in the Joseon(朝鮮) dynasty, which was in charge of astronomy(天文), geographical feature(地理), calendar-making(曆數), fortune telling(占算), meteorological observation(測候), and so forth. The royal office consisted of three divisions according to the studies (學): Astronomy(天文學), Geography(地理學), and Astrology(命課學). Among them, the Astronomy division carried out the works corresponding partly with academic fields of Earth Science nowada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organization and the examination system of Gwansanggam focusing on the Astronomy division. Because Gwansanggam was one of royal offices, the organization, functions, and the rules of the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科擧試驗) were stipulated in code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From various codes, official books, and records of Sillok(實錄), we firstly find that the scale of Gwansanggam in the number of officials was larger than the known one because the number of petty officials (胥吏), slaves, and artisans (匠人) were neglected in previous studies. Next, we conduct research on the textbooks used in the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 of Gwansanggam, particularly of the Astronomy division. Despite of the shortness in contents, we estimate that this is the first systematic attempt to the study on the examination textbooks of Gwansanggam. Finally, we also make some introductions on the regulations applied to the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s of the offices belonging to manual rites (禮典) including Gwansangg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