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구과학 MBL 수업의 과학 탐구와 논의적 의사소통에 관한 사례 연구 KCI 등재

A Case Study on Scientific Inquiry and Argumentative Communication in Earth Science MBL Clas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6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MBL은 학생들에게 정확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과 실시간 그래프를 제공함으로써 실험 시간을 단축시켜, 실험 결과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을 가능하게 함으로 탐구의 본질적 특징인 의사소통과정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와 탐구의 본질적 특징인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중등학교 지구과학 MBL수업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3개의 MBL수업을 녹화한 비디오 테잎을 주된 자료원으로 하였으며, 수업 녹화물과 전사본을 교실탐구 기본요소와 논의 요소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실탐구의 기본요소는 "문제제기", "증거수집", "설명형성", "과학지식과의 연결", "이론의 발표"의 5가지이다. 연구 결과로 첫째, 세 수업은 각 진행 단계별로 탐구 요소와 그 수준에서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교사 주도적 문제 제기로부터, 절차에 따른 증거 수집을 하고, 교사의 지도에 따라 설명을 형성하며, 특정 과학지식을 사용하도록 안내되었다. 하지만, 이론의 발표 요소는 1개의 수업에서만 관찰되었다. 둘째, 탐구의 본질적 측면으로서 논의적 의사소통은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 논의 과정을 포함한 담화 에피소드는 과학적 현상을 다루기보다 실험 과정이나 절차적 측면에 관해 이루어졌다 이론의 발표가 진행된 수업에서 1개의 에피소드만이 과학현상과 관련된 활발한 논의적 의사소통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MBL자료가 탐구의 본질적 특징인 의사소통을 강조한다 하더라도, 실제 수업에서 진정한 탐구의 모습을 구현하는 일은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BL수업에서 탐구 및 논의적 의사소통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논의의 기회 제공과 더불어 논의를 유의미하게 개진할 수 있는 교사의 적절한 도움이 필요하다.

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 (MBL), by offering accurate and effective data collection and real-time graphs, enables students to reduce experiment time and, thereby, have deeper discussions concerning experimental results. This helps to emphasis the essential aspect of scientific inquiry; the process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secondary school earth science MBL lessons with regards to the five basic aspects of scientific inquiry: "Asking", "Evidencing", "Expl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t then investigated the level of argumenta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eachers and also among the students themselves. For this study, three classroom activitie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and teaching materials, textbooks and students' notes were collected.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fic inquiry level and argument fram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ientific inquiry levels of the three classes were similar, except for the "Communicating" aspect, which appeared in only one episode. "Asking" was carried out by the teacher and then students were directed to collect certain data in the "Evidencing" stage. Furthermore, students were given possible ways to use evidence to formulate explanations and connections through the "Explaining" and "Evaluating" stages. In the argumentation analysis, most argumentative communication was identified as being associated with a given procedure, rather than with any scientific phenomena. In only one episode, did "Communicating" relate directly to any scientific phenomena. It can be concluded, that although MEL places emphasis on communication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e environment required for such inquiry and argumentative communication can not be easily created in the classroom. Therefore, in order for authentic inquiry to take place in the MBL classroom,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develop meaningful argumentation and scaffolding abilities.

저자
  • 오진아(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Oh, Jin-Ah
  • 이선경(서울대학교 BK21 미래사회과학교육연구 사업단) | 이선경
  • 김찬종(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김찬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