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북동중국해 대륙붕 코아 퇴적물의 저서유공충 군집 특성과 퇴적환경 연구 KCI 등재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Core Sediments from the Northern Shelf of the East China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7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지난 최대빙하기 이후 형성된 대륙붕 퇴적체의 퇴적환경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동중국해 북부(북동중국해) 대륙붕에서 채취된 코아 퇴적물에 대한 탄소동위원소(AMS 14C) 연대측정과 함께 저서유공충 군집 변화를 분석하였다. 코아퇴적물은 최하부에서 약 16,000yr B.P.이며, 최상부 30cm에서는 약 3,000yr B.P.로 지난 최대빙하기에서 최근까지 순차적으로 발달한 퇴적충으로 구성된다. 코아 퇴적물에서 산출되는 저서유공충 분석 결과, 군집조성, 종수(S) 그리고 종다양도(H(S)) 등이 약 240cm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뚜렷하게 구분된다. 퇴적물 깊이 240cm 이하의 하부 퇴적층(Zone I)에서는 Ammonia beccarii와 Elphidium clavatum (s.l.)이 우세하게 출현하며, 부유성 유공충 산출율(P/T ratio, 평균 22%)과 종수(평균 44), 다양도(평균 2.9) 등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러한 저서유공층 군집 특성과 연대측정에 근거할 때 Zone I은 최대빙하기 이후 초기 해수면 상승 동안(16∼10ka) 수심 약 20∼30m 내외의 염하구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상부의 Zons II 퇴적층은 Eilohedra nipponica와 Bolivina robusta가 우점하며, 부유성 유공층 산출율(〉40%)과 종수(〉60) 둥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Zone II는 유공충 군집 구성 특성에 따라 두 개의 구간(Zone IIa와 IIb)으로 세분되며, Zone IIa는 약 9,000 yr B.P. 이후 해수면이 빠르게 상승하는 현세 해침 동안 연구해역에 형성된 내-중대륙붕 환경에서, 그리고 Zone IIb는 약 6,000 yr B.P. 이후 해수면이 현재와 같은 수심 80m 내외의 외대륙붕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코아 퇴적물의 저서유공충 군집 변화 특성은 최대빙하기 이후해수면 상승과 함께 형성된 대륙붕 퇴적체의 퇴적환경 변화를 잘 반영한다.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 and AMS radiocarbon dating of core sediments from the northern shelf of the East China Sea were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aleoenvironment and sedimentary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the Korean marginal seas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LGM). The core sediments, containing continuous records of the last 16,000 years, reveal a series of well-defined vertical changes in number of species (S), P/T ratio and species diversity (H) as well as foraminiferal assemblage. Such down-core variations display a sharp change at a core depth of approximately 240 cm, which corresponds to ca. 10,000 year B.P. The sediments of the lower part of the core (240∼560 cm, Zone I), including the well-developed tide-influenced sedimentary structures, are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s of Ammonia beccarii and Elphidium clavatum (s.l.) and low values in number of species, P/T ratio and diversity. These tide-influenced signatures and foraminiferal assemblage characters suggest that the sediments of Zone I were deposited in a coastal environment (water depths of 20∼30 m) such as tidal estuary with an influence of the paleo-rivers (e.g., old-Huanghe and Yangtze rivers) during the early phase of the sea-level rise (ca. 16,000 to 10,000 years) since the LGM. In contrast, the upper core sediments (0∼240 cm, Zone II) are characterized by abundant Eilohedra nipponica and Bolivina robusta with a minor contribution of A. ketienziensis angulata and B. marginata. and high values in number of species, P/T ratio and diversity. Based on relative abundance of these assemblage, Zone II can be divided into two subzones (IIa and IIb). Zone IIa is interpreted to be deposited under the inner-to-middle shelf environment during the marine transgression in the early Holocene (after ca. 9,000 yr B.P.) when sea level rapidly increased. The sediments of zone IIb most likely deposited after 6,000 yr B.P. under the outer shelf environment (80∼100 m water depth), which is similar to modem depositional environments. The muddy sediments of zone IIb were probably transported from the old-Huanghe and Yangtze Rivers during the late Holocene. We suggest that the present-day oceanographic conditions over the Yellow and the East China Seas have been established after ca. 7,000∼6,000 yr B.P. when the Kuroshio Current began to influence this area.

저자
  • 강소라(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 | Kang, So-Ra
  • 임동일(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 | 임동일
  • 김소영(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 | 김소영
  • 노경찬(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 | 노경찬
  • 유해수(한국해양연구원 심해.해저자원연구부) | 유해수
  • 정회수(한국해양연구원 심해.해저자원연구부) | 정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