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포항 분지의 제3기 장기층군에서 산출된 규화목의 산출상태와 구성광물 KCI 등재

The Mode of Occurrence and Composing Minerals of Petrified Woods from the Tertiary Janggi Group of Pohang Basin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7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경북 포항의 장기층군에서 산출된 규화목의 산출상태로부터 판단하면 규화목은 모두 이지성 화석임을 지시한다. 장기층군에는 규화목과 함께 탄화목, 목탄도 발견되며, 일부의 규화목에는 껍질부분에 갈탄화된 유기물이 일부 남아있는 것도 있다. 규화목의 X선 회절 분석으로부터 Opal-CT, Opal-C, 석영+크리스토발라이트의 3가지 유형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광물의 존재는 규화작용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실리카(SiO2)의 주공급원은 응회암으로 추정된다. 규화목의 구성광물의 종류와 조직 보존 상태로부터 판단하면 규화작용은 주로 치환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The mode of occurrence of petrified woods from the Tertiary strata of Pohang Basin in Kyeongsangbug-do suggests that the petrified woods are all allochthonous fossils. Petrified woods as well as various types of wood fossils such as carbonized woods and charcoal woods were found. However, some lignified organic remains are rarely found in the bark part of petrified woods. X-ray diffraction analysis showed three types of minerals including Opal-CT, Opal-C, and quartz+cristobalite. The presence of these minerals indicates that silicification occurred under the low temperature. The tuffs are considered to be main source of supply of silica. Analysis of the kind of composing minerals and the condition of tissue preservation can predict that silicification is mainly occurred by replacement.

저자
  • 김종헌(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Kim, Jong-H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