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백악기 계화리층 내 현무암질 안산암-실트암 페퍼라이트 KCI 등재

Basaltic Andesite-Siltstone Peperite in the Gyehwari Formation (Cretaceo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7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전북 부안군 백악기 계화리층 하부에 나타나는 현무암질 안산암-실트암 페퍼라이트의 산출양상과 특성을 보고한다. 페퍼라이트는 판상의 현무암질 안산암에 수반되어 산출되며, 안산암은 적색의 범람원 기원 실트암과 실트질 사암교호층 내에 조화적으로 협재되어 있다. 페퍼라이트가 안산암 상부 경계부에서 산출되는 점과 경계부에서는 분산형 페퍼라이트가 우세하나 안산암 내부쪽에서는 밀집형 페퍼라이트가 우세해지는 점은 안산암이 관입기원(?관입암상)임을 지시한다. 마그마 관입과 페퍼라이트 형성은 계화분지 형성 초기부터 퇴적동시성 화산활동이 활발하였음을 시사한다. 안산암의 K-Ar 전암 절대연령은 백악기 후기(Santonian)로 측정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occurr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saltic andesite-siltstone peperite in the lower part of the Gyehwari Formation (Cretaceous), Buan-gun, Jeonbuk province, SW Korea. The peperite is associated with tabular basaltic andesite body, concordantly intercalated with red siltstone and silty sandstone interbeds of floodplain facies. Development of the peperite along the upper margin of the andesite and its textural transition from a dispersed blocky type inward into a closely packed type collectively indicate an intrusive origin (?sill) of the andesite. Magma intrusion and subsequent peperite formation suggest an active syndepositional volcanism since the early stage of evolution of the Gyehwa Basin. The andesite is dated at Late Cretaceous (Santonian) by K-Ar whole-rock radiometric method.

저자
  • 노병섭(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과) | Noh, Beyong-Seob
  • 박재문(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과) | 박재문
  • 김승범(한국석유공사 탐사사업처 국내팀) | 김승범
  • 양우헌(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융합과학연구소) | 양우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