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구과학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 분석: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 사례 KCI 등재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7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교과교육학지식(PCK)은 과학 교사의 전문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인식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교사들의 PCK를 명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분석틀을 개발 및 적용하여 예비 및 현직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동일 주제에 대한 PCK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서로 다른 2개 주제에 대한 PCK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 주제에 대한 예비 교사와 현직 지구과학 교사의 PCK는 구성 요소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로 다른 주제에 대한 PCK의 변화는 경향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구성 요소 및 교사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PCK의 주제-특정성을 확인하였으며,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및 평가에 PCK분석틀 및 프로파일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has been regarded as an indication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opic-specific PCK of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comparatively.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n analytic framework for explicitly documenting science teacher' PCK and applied th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within the same topic and with two different topics. Findings are as follows: (1) With the same topic, there was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the components of PCK, not to mention individual difference. (2) In case of two different topics, we did not recognize a tendency of change in PCK, but remarkable differences in PCK were identified between two different topics. This study affirmed the topic specificity of PCK, and discussed a possibility of employing PCK analytic framework and its profile as one of the tools that could be used to develop and assess teachers' professionalism.

저자
  • 이기영(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Lee, Ki-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