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1.
        2025.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level of patient advocacy (the core attribut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thical climate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in Korea,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atient advocacy (the core attribute).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34 full-time nurses who had been working for more than 1 year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a provincial city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5 to 30, 2024, using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WIN 27.0. Results: Among patient advocacy, ‘safeguarding patients’ autonomy’ was explained by 30.0% by professional self-concept, patients,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nursing, ‘acting on behalf of patients’ was explained by 34.0% by professional self-concept, role of nursing practice, patients, originality of nurs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nursing, and ‘championing social justice’ was explained by 36.0% by professional self-concept, patients, and manager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patient advocacy of hospital nurses, it could be concluded that improv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the sub-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improving patients among the sub-factors of ethical climate are very effective. Therefore, nursing managers need to make managerial efforts to improve nurse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awareness of patients.
        4,300원
        2.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임상의사결정능력 간의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임상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 지역의 종합병원 임상간호사 173명이며, 2023년 9월 15일~10월 13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 분석과 부트스트래핑 추정방식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 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의사결정능력,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성은 타당하게 성립하였다. 둘째, 간호전문직관에서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영향관계에서 비판적 사 고성향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간접효과가 비 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의 간접효과보다 크게 나타나 이중매개효과보다는 단일매개 효과 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간호사들의 높은 간호전문직관의 함양은 임상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비판적 사고성향을 강화시키는 것이 더 효율적임을 검증하였다.
        5,400원
        3.
        202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in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EdTech) among Korean elementary English teachers amid the increasing integration of technology in English education. Emplo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study involved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Korean elementary English teachers experienced in using EdTech. It aims to identify their EdTech experiences, the elements constituting EdTech professionalism, and its developmental process. The study reveals that teachers’ EdTech professionalism encompasses a proactive approach towards technology, continuous professional growth based on practice and reflection, and adaptation of teaching methods in response to evolving technologies and learner needs.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eachers’ self-directed approach, collaboration with other teachers, and the integration of pedagogical, content, and technological knowledge into their English teaching.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the advancement of EdTech-utilized English education, suggesting new processe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elementary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 rapidly evolving landscape of educational technology.
        6,700원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effective capacity building education plans for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supervisors. A survey was conducted on 635 management supervisors of public institutions (99 institutions) subject to the safety management rating system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articipants and the impa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professionalism improvement after capacity building education.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the professional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affiliation of educational participants was higher in the workplace and construction site divisions than in the research facility division, and the professional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working period was higher for more than 15 years than for less than 5 years and less than 15 years. In addition, the quality of edu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degree of professional improvemen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related to capacity building education for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supervisors
        4,000원
        5.
        2023.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세기는 정보와 기술을 중요하게 여기는 기술정보화 사회로 경 제, 산업, 교육, 정치, 생활과 같은 모든 분야에 빠르게 변화를 체 감할 수 있으며, 4차 산업혁명속에서 가족구조의 변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맞벌이 가족, 이혼가족의 증가는 자 녀양육의 문제가 한 가족이 책임지는 문제가 아닌 국가, 사회가 책임지는 사회문제로 인식되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 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 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언한다. 첫째, 보육교 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 의 자아존중감을 유지하고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을 향상 시키기 위한 인력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보육서비스 질을 향상시 키는 방법으로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 성에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했 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8,100원
        6.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관은 대통령의 국정 운영 파트너이자, 주요 행정부처의 수장이다. 이 에 본 연구는 민주화 이후 역대 장관의 충원 패턴에 대해 살펴보고, 덧 붙여 정부 운영의 안정성을 위해 장관의 재임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전문성 요인과 대통령-장관 연계 요인에 주목하여 경험적으로 분석 하였다. 민주화 이후 장관직을 역임한 총 489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구 축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원 패턴을 살펴본 결과 개인 적 특성 요인에 있어서는 남성이 다수였고, 평균 연령은 약 58세였으며, 학력은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전문성 요인에 있어서 장관들은 대체로 전공 및 경력 등에 있어서 소속 부처와 일치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었 다. 셋째, 대통령-장관 연계 요인과 관련하여 정실주의적 요인으로는 출 신 학교보다는 출신 지역에 있어서 대통령과의 연관성이 다소 나타났으 며, 엽관주의 요인으로 동일 정당 활동 여부가 장관 인선에 영향을 미쳤 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장관의 평균 재임 기간 은 약 1년 3개월로 다른 국가에 비해 짧은 수준이었다. 마지막으로, 장 관의 재임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장관의 전문 성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7,700원
        7.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임상실습 감정노동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의 2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이며 자료는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 수, 통제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장마인드셋은 간호전문직관(β=.325,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임상실습 감정노동은 간호전문직관(β=-.099, p=.161)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모형은 간호전문직관을 25.4%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간호대학 생의 간호전문직관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성장마인드셋을 강화시키는 전략들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4,000원
        8.
        2022.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 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며,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영유아를 잘 보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 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인성의 인과관계 구조를 연 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 의 전문성이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서 교사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 적이 있다.
        8,300원
        9.
        202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인천광역시 소재 보육교사 313명을 SPSS와 AMOS V.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평균 4.10점, 직무스트레스 평균 2.90점, 이직의도 평균 2.81점, 자아탄력성 평균 3.63점으로 나타났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전문성 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인 부분매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800원
        10.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에서 전공만족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4개 도시에 소재한 4개 간호대학의 간호학과 231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 강화를 위해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4,000원
        11.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해서는 교과목 확대 및 실습 강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 고 있다. 그러나 이미 현장에서 실천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연구와 지원 은 미흡한 실정이다. 평생교육 현장에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평생교육활동에 종사하는 사 람들도 있으며, 앞으로 성인학습이 다양하게 확대되고 평생교육사들의 수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성인학습 지원을 위한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평생교육사의 직업사회 화 과정에서는 이론적 지식 습득 뿐만 아니라 성찰적 실천 능력이나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전문 성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개발과 관련하여 이 논문에서는 성찰적 실천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평 생교육사의 실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성찰적 실천의 의미에 대해 규명하였다. 둘째, 성찰적으로 실천한 결과를 전문성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실천한 결과에 대한 성찰과 실천과정에서 의 성찰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논의결과를 요약한 다음 성찰적 실천을 통한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개발 전략을 제시하였다.
        5,500원
        12.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임상수행능력,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8년 10월 15일부터 19일까지 G시의 간호대학 2,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다중회귀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 이미지(r=.70, p<.001), 임상수행능력(r=.23, p<.001), 전공만족도(r=.62,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임상수행능력은 간호사 이미지와 양의 상관관계가(r=.14, p=.015) 전공만족도는 간호사 이미지(r=.55, p<.001), 임상수행능력(r=.14, p=.012)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β=.32, p<.001), 사회적 이미지(β=.31, p<.001), 전문적 이미지(β=.21, p<.001), 임상수행능력(β=.09, p=.018)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59.9%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해서는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4,600원
        13.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 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예비조사및 본조사를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본 조사는 2019년 7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와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 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및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다문화교수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전문성인식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수효 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유의미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정책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 램개발에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한다.
        5,200원
        14.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성 연구는 주로 법적, 제도적 측면에서 ‘항공종사자’로 지정하여 전문가로서 역 할과 책임을 다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객실승무원의 업무 수행과 관 련하여 구체적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을 의미하는 전문성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항공객실승무원의 능력 관점에서의 전문성 개념을 연구한 유문주·이동명(2020)을 바탕으로, 이러한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또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를 함께 고려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 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자기주도학습과 가족지원을, 또 전문성의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로 경력 만족을 각각 상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성에 자기주도학습과 가족지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1, 2는 증 명되었다. 또, 자기주도학습과 가족지원 중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주도학습이 상 대적으로 높았다. 또 전문성은 항공객실승무원의 경력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도 증명 되었다. 둘째,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성 개발에 자기주도학습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 이다. 지금까지 각 항공사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식적, 외형적, 제도적 교육훈련은 승무원 본인의 자발적 노력인 자기주도학습 없이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이다. 자기주도학습이야말로 전문가가 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라 하겠다. 셋째,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성에는 가족지원도 중요한 영향 요소로 부각되었다. 항공객실승무원은 스 케쥴근무, 장기간의 해외 출장, 승객과의 대인관계 등으로 체력소모가 많고 피로 및 스트레스가 높은 업무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가족의 정서적 측면에서의 지원 없이는 활력을 회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 러한 가족지원상의 문제는 개인이 해결해야 하는 부분도 있으나, 항공사 입장에서도 업무스케쥴의 조정, 휴가제도의 정비 등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전문성은 개인의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항공객실승무원도 장기적인 경력을 쌓아 나가는 하나의 전문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반증이 아닌가 판단된다.
        6,000원
        1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이 느끼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호 대학생이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편성과 비교과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대학생으로 2019년 5 월 30일부터 6월 4일까지로 총 184부의 자료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성격, 간호학 선택 동기, 간호직의 미래전망, 간호사 이미지 및 전공만족도를 예측변수로 간호전문직관을 설명하는 선형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고(F=43.637,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간호전문직관 총 변화량의 63.6%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긍정적 자아상을 통한 긍정적 이미지를 창출 하고 학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9.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J소재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375 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간호전문직관, 지각된 사회 적 지지, 대인관계능력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대인관계능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은 내현적 자기애와 간호전문직 관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은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간호전 문직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하기 위해 대인 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5,100원
        20.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은 직무수행과 관련된 동기 및 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가 지역사회 내의 전문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사자의 전문성과 직무성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이 직무만족과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요인을 찾아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을 높이고, 임파워먼트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8,4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