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인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on the Effects of Nursery Teacher's Professionalism on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Toddl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5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한국비전연구 (Korean Vision Reserch)
한국비전학회 (Korean Vision Academy)
초록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 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며,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영유아를 잘 보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 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인성의 인과관계 구조를 연 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 의 전문성이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서 교사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 적이 있다.

Based on the theorie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xpertise on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I want to give direction. In addition, the causal relationship structure of personality in the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was established as a research model,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 expertise on the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was empirically examined.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to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s personality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infant by the professionalism of the childcare teacher.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보육교사의 전문성
    2.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3. 인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2.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방법
    3. 조사도구
    4.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상관관계분석
    3. 확인적 요인분석
Ⅴ. 결 론
    1. 논의
    2.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저자
  • 임미례(칼빈대학교 대우교수)
  • 송미덕(웰페어평생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