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년 인성교육진흥법 시행 이후 학계에서 2015 꾸준히 논의되고 있는 대학 인성교육의 연구동 향과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미래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24 년까지 발표된 대학 인성교육 관련 논문 총 173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5년 법 시행 직후 2016 년에는 전년 대비 관련 연구가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후 대학 내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확 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77편), 양적연구(75편), 질적연구(16편), 혼합연구(5편)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주제 분석 결과, 효과성 분석, 운영 사례, 인식 및 요구, 교육과정 개발 순으로 연구 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 인성교육 연구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이론과 실천의 조화 를 이루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래 대학 인성교육의 질적 성장을 도모 하기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과정 개발, 디지털 환경 활용, 맞춤형 교육, 교수자 역량 강화와 같은 부분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표상활동이 만 2세 영아의 기본생활습 관 형성과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 하였다. 이를 위하여 C도 A시 어린이집 재원중인 만 2세 영아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총 12주(매주 4 일, 매회 1시간 20분) 동안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표상활동을 실행하였다. 연구기간은 실험집단(15명)과 통제집단(15명)에게 2018년 8월 20일부터 11월 9일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방법은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 비교조사로 사전-사후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 검증, 대응표본 t 검증을 실 시하여 표상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표상활동은 만 2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사회정서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 2 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사회정서발달 향상을 위한 보육현장에서 의 실천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의 교직헌신에 대한 원장의 진성리더십, 교직 원의 지지, 조직공정성, 교사 인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 보는데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2월부터 5월까지 전국 유아교육기관에 초임 교사로 재직 중인 유아교사 418명을 통해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과 AMOS 26.0 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상관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부 트스트랩핑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공정성과 교사 인성은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또한 교사 인 성은 교직원의 지지와 교직헌신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초임유아교사 의 교직헌신을 높이는데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조직의 공정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이들을 높여내는 것이 필요함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에서는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조직 공정성 증진방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본 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eachers’ experiences of practicing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Juingonggwanbeop in elementary schools. The goal was to provide universal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schools. Methods: This study use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to collect data from teachers working at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regarding their character education experien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5 themes and 16 sub-them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five themes included “Starting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for various reasons”, “Feeling joy when seeing students changing through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Difficulties in managing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tandardized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and growth in their school lives through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expressed a strong desire to develop universal programs and materials for teachers who have not been exposed to Juingong-gwanbeop.
이 연구는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주도형으로 이루어진 A 보건 대학교 간호학부 교과목 ‘고전과 인성’ 수업 운영 사례 를 1차 사전 설문조사, 수업 운영 방법, 수업 활동 분석, 2차 사후 강의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분석 후 개선점을 제시함으로써 대학 고전 교육의 방향을 모색한 데 의의가 있다. 먼저 전체 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 과, 조별 수업 주제 요약 및 관련 도서 읽은 후 요약, 간호 업무에 적용 하기, 소감 말하기, 발표와 토론, 나의 생각 쓰기로 구성된 수업에 전체 학습자(120명) 중 83%(매우 만족 38%, 만족 45%)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고전과 인성’ 교과목 수업계획서에 명시한 학습 목표 5가지가 달성되었고, 92% 학습자가 후배 학습자들에게 이 교과목을 추 천하겠다고 하였으므로 유의미하다. 그러나 교육부는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쓰기, 듣기⋅말하기)을 관리⋅감독 강화 및 개편해야 한다. 왜냐하 면 ’고전과 인성‘ 수업 운영 사례 결과, 이것을 학습자들이 어려워했거나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인성역량이 학업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들 관계가 회복탄력성에 따라 다르게 조절되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학업지속성에 대한 인성역량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기이해, 공감능력, 공정성, 협동심, 그리고 인권의식이 높을수록 학업지속성이 높았다. 특히, 협동 심은 학업지속성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이었다(약 6.2% 설명). 이들 결과는 협동심에 중점을 둔 인성교육이 학업지속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는 것을 시사한다.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회복탄력성이 높을 때는 자기이해가 높을수록 학업지속성이 증가한 반면, 회복탄력성이 낮을 때는 학업지속성은 자 기이해 수준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이 결과는 높은 수준의 회복탄력성은 학 업지속성에 대한 자기이해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다. 본 연구 결과는 학습지속성 향상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fracture properties after friction stir welding on Al606. In the L-T direction test, the fracture toughness of the unwelded base material was 275 MPa, and the specimen subjected to friction stir welding (FSW) was 227 MPa, showing that the fracture tough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friction stir welding. In the T-L direction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 material and the weld material was not large, but the fracture toughness was shown to decrease during welding. In the comparison of the L-T direction and the T-L direction, it was found that both the base material and the weld material showed high fracture toughness in the L-T direction.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fter friction stir welding of Al 6061-T6.
본 연구의 목적은 민주시민이자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성을 평가하는 성찰-실천기반 인성척 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첫째, 50개의 예비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8개 요인(자기이해, 공감, 공정, 협동, 인권, 미디어리터 러시, 환경, 그리고 타문화이해, 각 요인당 4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둘 째, 급내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 8개 요인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32개 문항으로 확인적 요 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성찰-실천기반 인성척도 모형은 전체 설명변량 중 65.67%를 설명하였고 모형 적합도 지수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척 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성찰-실천기반 인성척도는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인성 측정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성찰-실천기반 인성척도를 교육 현장에 적용 하여 인성교육의 효과성과 그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는데 사용할 수 있 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적 변화에 따라 양육에 대한 패러다임도 가족에서 사회와 국가의 책임으로 이양되면서 가정양육보다는 시설에서 의 대리 양육의 의존률이 높아졌다. 보육교사에 대한 기대감으로 학대 없는 안전보육과 함께 전인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건강하고 질 높은 다 양한 보육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보육교사가 근무중 여러 가지 요인으 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보육에 대한 자긍심과 책임감은 물 론 윤리의식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을 높여 줌으로 주요 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모델을 수립하고 분석하여 영유아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탐구하고 실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의 인성이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성된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 다. 이에 따라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은 물론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학대 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변수의 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 여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 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인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학대에 유의 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수효능감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학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보육교사의 인성과 영유아학대 사이에서 직무스트 레스와 교수효능감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 육교사 인성은 직무스트레스와 교수효능감을 매개하여 영유아학대에 간 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관계에서 인성과 직무스트레스, 교수효능감이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검증 하였다.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하는 인성을 함양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방안과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영유아 학대를 예방 근절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적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에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인성은 영유아의 성장 발달에도 유의미한 인과관계 를 가지며, 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과 윤리의식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를 보육· 교육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올바른 인성함양과 인성교육에 지속 적인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 스는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양육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보육교 사의 자질향상뿐만 아니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질 높은 보 육 활동을 요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현대사회의 자연적인 현상으로 결혼연령이 늦어지고 맞벌이 가족의 증가와 함께 가정에서의 양육 보다는 시설에서의 양육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 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 증하여,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언은 첫째, 올바른 인성 을 갖추기 위한 체계적인 자기관리와 다양한 프로젝트 개발이 필 요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통한 환 경개선이 매우 필요하다. 셋째, 보육교사들의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참여기회의 지원이 필요하다.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 분석을 통하여 현장에서 느끼는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했다 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영유 아와의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며,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전 문성을 높이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변인 간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 성, 상호작용, 인성, 효능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 적재값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관측변인들은 해당 잠재변인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 전문성은 인성, 효능감,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보육교사의 인성과 효능감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사이에서 인성과 효능감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육 교사 전문성은 인성과 효능감을 매개하여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인성과 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영유아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 보육교사의 역할이 전문성을 통해 영유아들에게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 하고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 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며,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영유아를 잘 보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 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인성의 인과관계 구조를 연 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 의 전문성이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서 교사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 적이 있다.
In this study, an AISI 316 L alloy was manufactured using a selective laser melting (SLM) process. The tensile and impact toughness properties of the SLM AISI 316 L alloy were examined. In addition, stress relieving heat treatment (650oC / 2 h) was performed on the as-built SLM allo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as-built SLM AISI 316 L alloy, cellular dendrite and molten pool structures were observed. Although the molten pool did not disappear following heat treatment, EBSD KAM analytical results confirmed that the fractions of the low- and high-angle boundaries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As the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the yield strength decreased, but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increased only slightly. Impact toughness results revealed that the impact energy increased by 33.5% when heat treatment was applied. The deformation behavior of the SLM AISI 316 L alloy was also examined in relation to the microstructure through analyses of the tensile and impact fracture surfaces.
본 연구의 목적은 형광직물과 재귀반사 소재만으로 제작, 보급되고 있는 현 안전의복에, 광섬유 적용으로 시인성을 높여 야간이나 기상악화 시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LED를 촉매로 한 광섬유와,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하여 설계·제작한 안전조끼를 개발하였다. 안전조끼는 필름에 일체화된 자동 점멸 광섬유에 의해 빛을 방출하도록 설계되었고 이 조끼를 착용한 작업자의 움직임으로,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확하 여 광섬유의 발광을 더 지속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작하여 부착하였다. 그 결과, 첫째로 조끼 착용자의 신체는 광섬유(optical fiber)와 재귀반사 테이프를 통해 멀리서 인식 가능하도록 시인성이 높아져 사고예방에 도움이 된다. 즉 야간에 실시하는 도로변이나 고지대에서의 작업, 구조대원의 활동, 스포츠 활동 시 사고를 예방하거나,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광섬유 발광을 변화시키는 신호로 사고 지점을 빨리 발견할 수 있어 인명구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생활 속 버려지는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하여 압전소자 발전 시스템을 개발하여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탑재한 결과, 배터리부의 유효 충전량을 활성화하고 보조 충전을 함으로써 에너지를 소량일지라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 동시에 안전조끼에 내장하여 제작함으로써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기존 안전 조끼의 경우 야간에 주변 조명이 없을 때는 조끼를 착용한 사람을 인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안전조끼의 빛 신호로 주변 조명이 없을 때에도 100m 이내에서 착용자를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광섬유 적용 안전조끼는 측면에서의 시인성 향상뿐만 아니라 가볍고 (물)세탁이 가능하여 실용적 측면에서 현존하는 LED적용 안전의류보다 우수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광섬유와 에너지 하베스터를 장착한 안전조끼는 실용도가 높고 안전사고 발생 예방과 감소, 나아가 인명구조에 이바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640명을 분 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측정변수의 기술통계는 자아탄력성의 평균 3.861점, 인성 의 평균 3.805점, 영유아 상호작용의 평균 4.199점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인성 중 사회관계, 긍정자아, 직무수행의 순으로 영유아의 상호작용 에 대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 효과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함의를 기술하였다.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bainitic steels are fabricated by controlling the contents of vanadium and boron. High vanadium steel has a lot of carbides and nitrides, and so, during the cooling process, acicular ferrite is well formed. Carbides and nitrides develop fine grains by inhibiting grain growth. As a result, the low temperature Charpy absorbed energy of high vanadium steel is higher than that of low vanadium steel. In boron added steel, boron segregates at the prior austenite grain boundary, so that acicular ferrite formation occurs well during the cooling process. However, the granular bainite packet size of the boron added steel is larger than that of high vanadium steel because boron cannot effectively suppress grain growth. Therefore, the low temperature Charpy absorbed energy of the boron added steel is lower than that of the low vanadium steel. HAZ (heat affected zone) microstructure formation affects not only vanadium and boron but also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In the HAZ specimen having large prior austenite grain size, acicular ferrite is formed inside the austenite, and granular bainite, bainitic ferrite, and martensite are also formed in a complex, resulting in a mixed acicular ferrite region with a high volume fr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HAZ specimen having small prior austenite grain size, the volume fraction of the mixed acicular ferrite region is low because granular bainite and bainitic ferrite are coarse due to the large number of prior austenite grain boundaries.
본 연구의 목적은 형광직물과 재귀반사 소재만으로 제작, 보급되고 있는 현 안전의복에, LED 부착으로 시인성을 높여 야간이나 기상악화 시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하고, 기울기 센서와 소리신호를 탑재하여 의식불명 자의 구명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학적 하이테크를 적용하여 설계·제작한 산업용 서스펜더형 안전벨트 및 기울기 센서와 소리신호가 탑재된 안전조끼형 벨트를 개발하였다. 그 효과로 첫째, 서스펜더형 안전벨트는 필름에 접착된 자동 점멸 LED에 의해 빛을 방출하도록 설계하여 벨트 착용자의 신체는 LED와 재귀반사를 통해 멀리서 인식되 어 사고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한 야간에 실시하는 도로변이나 고지대에서의 작업, 구조대원 활동, 스포츠 활동 시 사고를 예방하거나,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LED 발광을 변화시키는 신호로 사고 지점을 빨리 발견할 수 있어 인명구조 에 도움이 된다. 둘째, 착용자가 조난사고 등으로 인하여 의식불명으로 쓰러질 경우, 조난신호를 발생하는 첨단 디바이스를 개발하여 감지 및 신호 장치를 탑재한 결과 제어부의 기울기 센서가 인체의 각도를 자동 감지하였다. 동시에 조끼형의 벨트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사고로 착용자가 쓰러지면 이 벨트의 기울기 센서가 각도를 감지하고 제어기가 고주파 음과 LED 점멸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킨다. 기존의 안전 조끼의 경우 주변 조명이 없을 때는 조끼를 착용한 사람을 감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안전벨트의 음향과 빛 신호로 주변 조명이 없을 때에도 100 m 이내에서 착용자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LED 부착과 기울기 센서, 소리신호 소자를 부착한 스마트 안전의류의 개발은 사고발생 감소와 구명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