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찰-실천기반 인성척도 개발과 타당도 검증 KCI 등재

A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Reflection-Action Based Character Sca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4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민주시민이자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성을 평가하는 성찰-실천기반 인성척 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첫째, 50개의 예비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8개 요인(자기이해, 공감, 공정, 협동, 인권, 미디어리터 러시, 환경, 그리고 타문화이해, 각 요인당 4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둘 째, 급내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 8개 요인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32개 문항으로 확인적 요 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성찰-실천기반 인성척도 모형은 전체 설명변량 중 65.67%를 설명하였고 모형 적합도 지수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척 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성찰-실천기반 인성척도는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인성 측정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성찰-실천기반 인성척도를 교육 현장에 적용 하여 인성교육의 효과성과 그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는데 사용할 수 있 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flection-action based character scale that evaluates the qualities needed in a democratic/global citizen and the characters needed in the current and future society. Firs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50 preliminary questions, resulting in extraction of a total 32 questions (8 factors: self-understanding, empathy, fairness, cooperation, human rights, media literacy,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Second, the result of test-retest reliability for 8 factors were found to be high. Third,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32 questions showed that this model explained 65.67% of total variance and the model fit indices were found to be good. Bot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were hi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reflection-based character scale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character measurement tool. By applying the reflection-based character scale to the field of character education, it can be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persistence of its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문항 제작 및 평가
    2. 연구 대상 및 조사 방법
    3. 자료 분석
III. 연구 결과
    1. 탐색적 요인분석
    2. 검사-재검사 신뢰도
    3. 확인적 요인분석
    4.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Ⅲ. 논의 및 결론
저자
  • 심경옥(경성대학교) | Kyungok Sim (Kyungsung University)
  • 한미경(경성대학교) | Mikyung Han (Kyungsung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