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사를 위한 인성 교육과정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6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사를 위한 인성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0개의 교육대학교와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3개 대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 대상으로 문헌분 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교원 양성과정의 교육과정 목표에서 교사를 위한 인성교육 목표는 모든 대학에 서 제시되고 있었다. 이를 범주화하면, 직업윤리 및 교직관 확립, 창의적 문제해결, 의사소통, 공동체 의 식 및 세계 시민성, 인간과 사회 이해, 봉사와 헌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에서 교사를 위한 인성교육은 교양과목에 집중되었고, 교육대학교는 종합대학교의 초등교육과 보다 인성교육 교과목 수가 적은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의 결론 및 제언에 도달하였다. 첫째, 초등교원 양성대학은 교육과정 목표에 맞는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교양과목, 교직과목, 전공과목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에서 교사를 위한 인성교육을 필수 영역으로 제시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 다. 셋째, 이를 위한 단기적 방안으로 교육대학교는 지역의 종합대학교와의 학점교류를 확대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at universitie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is,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urricula of 10 education universities and 3 universities that offer an elementary education department.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curriculum objectives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goal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teachers was presented in all universities. Categorizing these goals, they can be divided into professional ethics and establishment of teaching philosophy, creative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community awareness and global citizenship, understanding of humans and society, and service and dedication. Second, in the curriculum of education universities, personality education for teachers was focused on liberal arts subjects, an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universities offered fewer courses than universities with an elementary education department. In conclusion, first, universitie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design curricula that align with the curriculum objectives, offering liberal arts subjects, education courses, and major courses. Second, character education for teachers should be presented as a subfield of the curriculum and implemented as a mandatory component within the curriculum. Third, A short-term solution could be to expand credit exchange programs between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universities in close proximity.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 인성
    2. 인성교육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목표 분석
    2.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내용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백혜진(연세대학교 시간강사) | Paek Hei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