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인성은 영유아의 성장 발달에도 유의미한 인과관계 를 가지며, 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과 윤리의식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를 보육· 교육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올바른 인성함양과 인성교육에 지속 적인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 스는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양육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보육교 사의 자질향상뿐만 아니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질 높은 보 육 활동을 요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현대사회의 자연적인 현상으로 결혼연령이 늦어지고 맞벌이 가족의 증가와 함께 가정에서의 양육 보다는 시설에서의 양육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 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 증하여,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언은 첫째, 올바른 인성 을 갖추기 위한 체계적인 자기관리와 다양한 프로젝트 개발이 필 요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통한 환 경개선이 매우 필요하다. 셋째, 보육교사들의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참여기회의 지원이 필요하다.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 분석을 통하여 현장에서 느끼는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했다 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h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is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of responsibility and ethical awareness as a member of society. Such personality of child care teach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continuous social attention is required to cultivate the right personal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Consumer-centered child care service requires various child care support from the social aspect, and it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demand high quality child care activities through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as well as improving the qualities of child care teachers. Due to the natural phenomenon of modern society, the marriage age is delayed and the number of dual-income families is increasing, and it is dependent on nurture in the facility rather than nurture at hom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teaching efficacy on job stress and to provide quality child care services by enhancing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teaching efficacy and lowering job stress. Suggestions to provide quality childcare services are as follows: First, systematic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jects are needed to have the right personality; Second,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policy support to lower job stress is very necessary. Thir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programs and support participation opportunities to improve teaching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a way to lower the job stress felt in the field and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ersonality and teaching efficacy of the child car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