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학생 상호작용간의 과학논증 탐색: 인식론 및 심리학적 관점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논증을 인식론적 (사고과정) 및 심리학적 (사고유형) 관점에서 탐색하여 어떠한 사고과정 및 유형으로 교사가 학생들의 논증 형성 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35년의 교사경력을 지니고 있는 교사 및 그의 26명 학생의 과학수업 60시간을 관찰하고, 전사하였으며, 전사한 학생들의 논증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두 개의 도구, 즉 인식론적 및 심리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 참여자인 교사는 학생들의 논증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목적으로 개발한 명시적인 교수법 "주장-근거 교수법"을 수업 시간에 활용하였다. 논증을 두 개의 다른 관점으로 분석해 본 결과, "보기" 또는 "예"를 이용한 사고과정에서는 "정교성" 사고유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모든 탐구의 시작인 가설을 세우기 위해 학생들은 "귀납" 사고과정으로 "일반화" 사고유형을 통해 탐구의 시작단계인 본인들의 "주장"을 형성하였다. 좀 더 높은 수준의 논증은 다른 지식이나 경험을 통한 개념의 "일관성" 사고 과정을 통해 교사의 도움에 힘입어 학생들이 "설명"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논증 기회에서 확인된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이 스스로 논증을 형성할 수 잇도록 도와주는 조력자,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좀더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확장시켜 주는 정교자 (elaborator),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논증을 추적하여 발전시켜주는 멘토로 확인되었다. 논증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학생들이 과학의 참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논증 기회를 제공하는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udents' argumentation in perspectives of epistemology and psychology and to find out how teacher can promote students' abilities of developing argumentation. The 60 hours of lesson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one science teacher (Mr. Physics, who had 3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his 26 students were observed,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two different analyzing tools; one is from the perspective of epistemology and the other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y, which can portray how argumentation is constructed. Mr. Physics created the environment where students could promote the quality of scientific argumentation through explicit teaching strategy, Claim-Evidence Approach. The low level of argumentation was portrayed through examples from students' prior knowledge or experience in the form of an Appeal to the instance operation and the Elaboration reasoning skill. Students' own claims were developed through application of knowledge in a different context in the form of an Induction operation and Generativity reasoning skill. Higher level of argumentation was portrayed through Consistency operation with other knowledge or experience and Explanation reasoning skills based on students' ideas with more active teacher's inputs. The teacher in this study played a role as a helper for students to enact identities as competent "sense makers," as an elaborator rather than evaluator to extend students' ideas, and as a mentor to foster and monitor the students' development of ideas of a higher quality. It is critical for teacher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argumentation, which in turn is connected to their explicit teaching strategy with the aim of providing opportunities wher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science enterpr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