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태풍의 약화와 관련된 한국의 강수량 분포 KCI 등재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ssociated with the Weakening of Tropical Cyclo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8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최근 30년간(1979-2008년) 한반도 주변(32-36˚N, 122-132˚E)에서 태풍이 약화될 때 한국에서 나타나는 시공간적 강수 특징을 분석하였다. 약화 유형은 온대저기압으로 약화되는 태풍(Weakened to Extratropical Cyclone, WEC)과 열대성 저압부로 약화되는 태풍(Weakened to Tropical Depression, WTD)으로 구분하였다. WEC의 경우, 강수량은 전국에 걸쳐 골고루 분포하였으며 남해안에서 가장 많았다. WTD의 경우, 강수량은 남해안에서 가장 많았지만 중부 및 내륙지역은 적었다. 두 경우의 강수량 차이는 Region 2(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남동부 지역, 제주도)에서는 거의 없었으며, Region 1(중부지방, 전라북도, 경상북도 내륙)에서는 WTD보다 WEC일 때 강수량이 더 많았다. 태풍이 한반도로 접근 할 때 WEC의 경우 태풍의 북서쪽에는 상층의 발달된 잠재소용돌이도와 하층의 온도골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태풍의 북동쪽에는 상층 제트 및 강한 상층 발산역이 위치하였다. 이는 태풍 전면에 경압교란과 비단열 과정을 발달시켰고 이로 인해 강수영역이 넓게 형성된 것으로 추측되었다. 그러나 WTD의 경우에서는 강한 잠재소용돌이도나 온도골, 상층제트가 태풍 주변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강수영역이 좁게 형성되었다.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in Korea, associated with the weakening of Tropical Cyclones (TC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32-36˚N, 122-132˚E) over the last 30 years (1979-2008), were investigated. Weakened TCs are classified as WEC (Weakened to Extratropical Cyclone) and WTD (Weakened to Tropical Depression). In WEC, precipitation was evenly distributed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greater precipitation was recorded in the southern coast. In WTD, the most precipitation was recorded in the southern coast but low precipitation was recorded in the central and inland areas of Korea. The difference of precipitation between WEC and WT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gion 2 (Jeollanam-do, Gyeongsangnam-do, southeastern part of Gyeongsangbuk-do, Jeju-do); however, the precipitation resulting from WEC was greater than that resulting from WTD in Region 1 (central area of Korea, Jeollabuk-do, inland of Gyeongsangbuk-do). In WEC, the developed upper-level potential vorticity (PV) and low-level temperature trough shifted to the northwest of TCs approaching Korea. In addition, an upper-level jet stream and strong divergence field were observed to the northeast of the TCs. It was assumed that these meteorological factors had induced baroclinic instability and diabatic process, which created a large precipitation area around the TCs. However, the intense PV, temperature trough, jet stream were not observed in WTD, which created a small precipitation area around the TCs.

저자
  • 황호성(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Hwang, Ho-Seong
  • 변희룡(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변희룡
  • 이상민(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이상민
  • 최기선(기상청 국가태풍센터) | 최기선
  • 이지선(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이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