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홀로세 동안의 지형발달과 기후환경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함평천 유역의 충적평야에서 채취된 퇴적물 시료에 대한 탄소연대측정(AMS, Accelerated Mass Spectrometry), 토양유기탄소와 휴무스분석을 실시하였다. 최하부인 토탄층은 온난 습윤한 기후환경에 형성되었으며, 후빙기 중 Atlantic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황갈색 사질점토층은 자연제방성 퇴적물이며, 대체로 온난하고 건조한 기후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형성시기는 1,879-1,532 BC 이며, 이 시기는 후빙기 중 Sub-boreal기에 해당된다. 담갈색 점토층은 자연제방에서 배후습지로 이행되는 환경에 퇴적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기후 환경은 온난하고 습윤하였으며, 후빙기 중 Sub-boreal에서 Sub-Atlantic으로 이행되는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유추된다. 상부의 담황갈색 점토층과 담갈색 점토층은 배후습지의 퇴적물로 생각된다. 담황갈색 점토층이 퇴적된 환경은 냉량하고 습윤한 기후환경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시기는 후빙기 중 Sub-Atlantic에 대비될 가능성이 있다. 담갈색 점토층이 퇴적된 환경은 온난하고 건조한 기후환경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형성 시기는 211-427 AD이며, 이 시기는 Post Roman Warm Period에 해당되는 것으로 유추된다.
To investigate geomorphic development of alluvial plains and climatic environment change during the late Holocene carbon dating, soil organic carbon analysis and humus analysis of sediments from alluvial plain of Hampyeongcheon basin were performed. The lowest peat layer was formed under warm and humid climates, which is considered to correspond to the Atlantic period in the Holocene. Yellowish brown sandy clay layer was deposited in the natural levee, which we think were deposited in the generally warm and dry climates. The carbon dating age is 1,879-1,532 BC, and this period correspond to the Sub-boreal period in the Holocene. Light brown clay layer is assumed to have been deposited in transitional environment from the natural levee to the back marsh. The climatic environment was warm and humid, which is considered as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Sub-boreal to the Sub-Atlantic in the Holocene. Light yellowish brown and light brown clay layer of the upper part are regarded as sediments of the back marsh. Light yellowish brown clay layer was deposited in the cold and dry climates, which is considered to correspond to the Sub-Atlantic period in the Holocene. Light brown clay layer was deposited in the warm and dry climates. The carbon dating age is 211-427 AD, this period corresponds to the Post Roman Warm Period in the Holoc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