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마트러닝 기반 과학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학습만족도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MART Learning-based Science Instru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0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 모듈을 개발 적용하고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천문단원의 태양계 행성과 달의 위상을 주제로 3가지 유형의 모듈을 개발하였고, 중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태블릿PC를 제공하였고, 천문교육용 앱 Solar Walk, 미러링 기능, QR코드, 구글 프리젠테이션 등을 활용하여 학교와 가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식조사 도구는 스마트러닝 수업에 있어서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학습동기유발(Motivation), 학습자 맞춤형(Adaptiveness), 정보기술활용(Technology Embedded)의 4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커트 5척도의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만족도 검사도구는 Keller (1987)의 만족도 영역의 검사 항목을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스마트러닝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 만족도를 밝히기 위하여 연구대상 학생들의 성별과 과학성취도 수준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에 대하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자기주도학습 요인과 학습동기유발 요인에서 성취도가 낮은 집단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습 만족도 측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업능력이 높은 학생들일수록 스마트러닝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과학 분야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방향 설정과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their learning satisfaction in SMART learning based science instruction. Three types of modules on the solar system and lunar phases unit at the middle school level were developed and lessons on each module were taught to 207 student participants. All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tabletPC(iPad2) with iOS5 installed, and using astronomy app Solar Walk, mirroring function, QR code, and Google Presentation, the lessons were carried out both in classroom and at home. The instrument for assessing students' perception on the SMART learning-based instruction was developed based on 4 factors including Self-directed, Motivation, Adaptiveness, and Technology Embedded, with a Likert scale from 1-5 on 20 items. The learning satisfaction survey instrument was originally from Keller's work (1987), and its test items were adapted and modified. To reveal the percep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bout SMART learning-based science lessons, the participan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y gender and science achievement levels. Results indicated that male students showed positive perception for the SMART learning-based instruction. Group with higher science achievement score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SMART learning-based instruction in terms of Self-directed and Motivation factor. Also,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nd group with higher academic ability more satisfied with the SMART learning-based instruction than the low group. Th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help set a direction of increasing the use of a SMART learning-based science in school.

저자
  • 박수경(경남대학교 과학교육과) | Park, Su-Ky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