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HadGEM2-AO RCP8.5 모의에서 나타난 지구온난화 멈춤 KCI 등재

The Global Warming Hiatus Simulated in HadGEM2-AO Based on RCP8.5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0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대기 중 이산화탄소 등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최근 10여 년 동안(2002-현재) 전지구 지표 온도는 거의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처럼 온실기체 강제력에도 불구하고, 지구 온난화 경향이 사라진 듯 보이는 현상을 지구 온난화 멈춤(hiatus)이라 한다. 이 연구는 HadGEM2-AO가 모의한 RCP8.5 시나리오 실험(95년간) 자료를 분석하여, 온난화 멈춤 시기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온난화 멈춤 기간을 나타내는 시계열은 동서 평균한 연직 해수 온도 분포를 EOF 분석하여 구한 두 번째 PC (PC2)로 정의하였다. PC2를 이용하여 온난화 멈춤과 엔소와의 관련성, 기후시스템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라니냐 지수(NINO3지수에 -1을 곱하여 정의)가 PC2를 약 11개월 앞서는 것으로 보아 라니냐 발생이 온난화 멈춤을 유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기후시스템의 냉각은 해수 표층의 열이 해양 내부로 침강으로 나타남을 보였다. 이는 해양의 열흡수에 의해 전지구 온도 상승률이 약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온난화 멈춤 시기에 북태평양과 북반구 극지는 양의 온도 편차가 나타났으며, 열대 해양에서는 무역풍이 강화되었다.

Despite the greenhouse gases like carbon dioxide have steadily increased in atmosphere, the overall trend of the global average surface air temperature has stalled during the last decade (2002-present). This phenomenon is often called hiatus or warming pause, which is challenging the prevailing view that anthropogenic forcing causes warming environment. Our study characterized the hiatus by analyzing the HadGEM2-AO (95 yrs) simulation data based on RCP8.5 scenario. The PC2 time series from the EOF of the zonal mean vertical ocean temperature has been defined as the index that represents the warming p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atus, ENSO and the changes in climate system are identified by utilizing the newly defined PC2. Since the La Nina index (defined as the negative of NINO3 index) leads PC2 by about 11 months, it may be possible that the La Nina causes the warming to be interrupted. We also show that the cooling of the climate system closed tied to the heat penetration into the deep ocean, indicating the weakening the warming rate is due to the oceanic heat uptake. Finally, the global warming hiatus is characterized by the anomalous warming in Arctic region as well as the intensification of the trade wind in the equatorial Pacific.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모델 모의 자료  결 과   모델이 모의한 지구온난화 멈춤   해수 온도의 EOF 분석   지구온난화 멈춤의 원인 분석  결론 및 토의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위지은 | Wie, Jieun
  • 문병권 | 문병권
  • 김기영 | 김기영
  • 이조한 | 이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