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예비 과학교사들의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른 육안분류 능력 KCI 등재

The Classification Ability with Naked Eyes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Level about Rock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0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는 예비과학교사들의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른 육안분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물과 암석에 대한 비과학적 개념과 관련된 설문지를 개발한 후 예비 과학교사 132명에게 응답하게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라쉬 모형을 이용하여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라 숙달 집단과 미숙달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구분된 집단의 육안분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17종(화성암 6종, 퇴적암 5종, 변성암 6종)을 제시한 후 각자의 기준에 따라 암석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과학교사들은 주로 조직, 색깔, 입자 크기 등을 분류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화성암을 분류하는 것은 비교적 쉽게 해결하였지만 퇴적암과 변성암은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여 분류하는데 혼동하고 있었다. 한편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과 생성원인에 따른 분류능력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암석명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능력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하지만 생성원인에 따른 분류 능력과 암석명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능력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assification ability with naked eyes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level about rock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concerning misconception about minerals and rocks. The participants were 132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Rasch model.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master group and a novice group according to their understanding level. Seventeen rocks samples (6 igneous, 5 sedimentary, and 6 metamorphic rocks) were presented t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examine their classification ability, and they classified the rocks according to the criteria we provided. The study revealed three major findings. Firs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ainly classified rocks according to textures, color, and grain size. Second, while they relatively easily classified igneous rocks, participants were confused when distinguishing sedimentary and metamorphic rocks from one another by using the same classification criteria. On the other hand, the understanding level of rocks has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lassification ability in terms of the formation mechanism of rocks, wherea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found with determination of correct name of rock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cation ability with regard to formation mechanism of rocks and the determination of correct name of rocks.

목차
 Results and Discussion
저자
  • 박경진 | Park, Kyeong-Jin
  • 조규성 | 조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