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nternational Rural Development Strategy using SWOT Analysis for Far-Western Region of Nepal KCI 등재

SWOT 분석을 이용한 네팔 극서부 지역의 농촌개발전략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1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최근 ‘새마을운동’이라는 이름으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농촌개발사업의 양적인 증가는 사전조사 목적으로 수행되는 수혜국가 지역의 농업환경을 자세히 분석하는 것에 소홀해질 가능성이 있다. 현시점에서 체계적인 지역농업환경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네팔 극서부지역의 농업담당 공무원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설문을 이용하여 SWOT 요인을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SWOT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3가지 농촌개발전략을 제안하였다.
첫째, 효율적 농촌개발을 위해 농민조직의 구성이다. 이를 위해 자본 ·기술· 인적자원의 지원과 농민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에서 활동하는 기존의 농업 관련 NGO에 대한 지원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연구지역은 농산물 뿐만 아니라 농업자재를 인도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농업 생산성 증대를 통한 해외의존도를 낮추는 전략이 필요하다.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복합관개수리 건설, 고지대 지역의 용수공급을 위해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양수시스템 보급, 저수지 건설과 같은 농업 인프라 구축, 현대농업기술 및 우량종자의 보급, 농업연구시설의 지원, 농업용지 확대를 위한 개간 및 농지 비옥화 작업등이 시행 가능할 것이다.
셋째, 지역에 생산되는 허브나 soap-nut과 같은 식물자원을 가공품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보급과 가공품 판매에 의한 부가가치 창출 및 양봉과 같은 농외소득을 통해 농가소득 증대전략이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SWOT 분석하였다. 질적연구방법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연구 결과의 일반화는 어렵지만, 양적 자료가 없는 상태에서 연구접근방법은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네팔 극서부지역의 농업담당자로 7명의 연구 참여자는 대표성을 갖기에 충분하지만, 추가로 비정부기구(NGO)와 국제기구 농업담당자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SWOT 분석이 가지고 있는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어려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계층분석과정 (Analytical Hierarchy Process)와 같은 양적연구 도구를 함께 활용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해외에서 진행되는 농촌개발분야에 SWOT 분석의 활용과 연구지역의 농업 상황과 농촌개발전략을 제안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는다.

By conducting SWOT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analysis to understand the agricultural environments of the Far-Western Region(FWR) of Nepal, this study aims to suggest realizable international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donor countries, including Korea, can utilize to effectively carry out rural development activities. Factors in the Strength category were determined to be as follows: an increase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and need for rural development; abundant natural resources; support of government, non-government, and international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nd the cultivation of cash and variety crops. The persistence of traditional farming skills and the lack of modernization, developed infrastructure, manpower, agricultural lands, and proper government policy and support, as well as food insecurity, were found to be factors in the Weaknesses category. The analysis identified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and export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tourism, the reuse of land for farming, and water resources for electricity and irrigation as factors in the Opportunities category. Finally, the Threats category included lack of accessibility for transporting of goods, imports from China and India, lack of fuel and electricity, natural and geographical difficulty, and political instability. Based on SWOT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e support of agricultural organizations, reduction of overseas dependency, and income generation as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저자
  • Jong-San Choi(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최종산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