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생종 벼의 움벼(ratoon-rice)생산 및 움벼의 생육특성 KCI 등재

The Ratooning Potential of Several Early-Ripening Rice Cultivar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2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움벼는 수확된 벼의 그루터기에서 2차 분얼이 발생하여 이로부터 새로운 수확물을 얻어내는 것으로 비교적 평균기온이 높은 대구지역에서의 극 조생종, 조생종 및 중만생종 벼의 움벼재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움벼재배에 적합한 품종은 극조생인 진부올, 조운, 조생종인 주남조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움벼의 생육기간은 생리적 혹은 환경적인 작기의 종료로 본포의 생육기간보다 짧았다. 초장은 36~70%로 짧고, 이삭수도 줄어들었으며 특히 이삭수는 품종별 차이가 현저하였다. 출수 소요일수는 본포 벼의 수전일수가 3~6일 인데 비해 움벼의 경우 출수 시작부터 출수 정지까지 오랜 기간 출수가 진행되었다. 본 시험에서 움벼생산이 가능한 세가지 조생품종에 대하여 본포의 생육기간은 110~112일 정도에 비해 움벼의 생육기간은 60~65일 정도로 최소 1개월 정도 생육기간이 짧았으며 수확량은 본포수량의 25~33%정도로 나타났다.
본포에서 생산된 쌀에 비해 움벼에서 생산된 쌀의 단백질 함량과 아밀로스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ToYo 미도메터가 나타내는 간접 식미치인 윤기치가 본포에서 수확한 쌀보다 높게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아밀로스 함량이 본포보다 움벼에서 높게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밥의 외관, 경도, 점도 및 발란스 수치로 환산하는 취반 식미값의 경우는 본포에서 수확한 쌀로 지은 밥에 비해 움벼는 현저하게 낮았다. 본포 수확벼에 비해 움벼로 지은 밥의 경도와 탄력성은 같거나 높아지고, 점성과 찰성은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본포와 움벼 종자의 발아력은 조운벼를 제외한 진부올과 주남조생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Rice ratooning is the production of a second rice crop from the stubble left behind after the main-crop harvest. The main advantage of rice ratooning is that in areas where rice is the main crop, double crop of rice can be grown for additional returns. Eight cultivars of rice were tested for estimation their ratooning ability. The main crop was harvested at mass maturity, after which the tillers were mowed to stubbles of about 10 cm tall. And then left without any further input, until the ratooned plant were ready for harvest. Highly significant variations were detected in the ratoon performance among cultivars, with ratoon ability ranging from 0% (‘Unkwang’, ‘Jopeyong’, ‘Odae’, ‘Nokyang’) to 33% (‘Jinbuol’) in their grain yield. The maximum grain yield from ratoon rice was 202 and 203 kg/10a for ‘Jinbuol’ and ‘Joun’ followed by ‘Junamjoseng’ 174kg/10a.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of ratoon rice were more increased than those of main rice. The platability value of cooked rice of ratoon was lower than that of main crop. Germination rate of the previous year's harvest of r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ratoon and main crop. This rice ratooning system requires short duration, creating possibility for growing another crop in the same cropping year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increase cropping intensity per unit of cultivated areas.

저자
  • 신종희(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과) | Jong-Hee Shin Corresponding author
  • 김상국(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과) | Sang-Kuk Kim
  • 박상구(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과) | Sang-Gu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