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얕은 습지에서 환경 요인에 따른 어류상 분포 특성 KCI 등재

Distribution Dynamics of Fish Community in Shallow Wetland by Environmental Variabl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2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얕은 습지에서 환경 요인에 대한 어류의 분포와 종 조성을 평가하기 위해, 2012년 봄철(5~6월)에 경상남도에 위치한 24개의 습지에서 이화학적 요인, 수생식물, 어류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20종의 어류가 동정되었으며, 잉어과 어류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요인 및 수생식물 생물량은 조사 지점에 따라 상이하였으며, 특히 수생식물 생물량은 어류 풍부도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었다(df=1, F=32.00, P=0.001). 조사 지점간에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사 지점들은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또한 수생식물 생물량에 대한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 집단의 습지에서는 검정우럭과 어류인 블루길에 의해서 우점되었으며, 그 외 어류 군집은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두 번째 집단은 주로 잉어과 어류인 붕어가 우점한다는 점에서 첫 번째 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 집단에 속한 습지에서는 첫 번째 집단과 비슷하게, 블루길이 우점하였으나, 다른 어류 종 또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얕은 습지에서 어류 군집의 분포와 종 다양성은 수생식물의 생물량에 의해 강하게 영향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수생식물의 높은 생물량은 어류의 높은 풍부도 유지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습지를 복원하거나 새롭게 조성할 때 수생식물의 적절한 식재는 어류의 종 다양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어류가 수생태 먹이망 내에서 최상위포식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먹이망의 건강성 유지에도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shallow wetlands that might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macrophytes biomass, and fish assemblage in 24 shallow wetlands in South Korea from May to June, 2012. In this study, a total of 20 fish species were identified, and Cypinidae were found to be the most dominant species.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macrophyte biomass were different in the survey sites, and macrophytes biomass, in particular,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sh abundance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df=1, F=32.00, P=0.00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between survey sites, the survey si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accordance with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relation to macrophytes biomass. In the wetlands of the first group, Lepomis macrochirus which belongs to Centrarchidae was found to be dominant and other fish assemblages were hardly seen. In the second group, unlike the first group, Carassius auratus that belongs to Cypinidae was found to be dominant. In the third group, Lepomis macrochirus was found to be as dominant as the first group but various other fish species appeared. Where there was abundance of the main food sources (i. e. zooplankton) of fish in the survey sites, there were more diverse macrophyte biomass. Consequently, it is proven that macrophytes strongly affect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high biomass of macrophytes support high assemblage of fish.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mmend establishing diverse aquatic macrophytes communities when restoring or creating wetlands to assure high diversity of fish species that use macrophytes as their habitat.

저자
  • 최종윤(국립생태원) | Jong-Yun Choi 교신저자
  • 조현빈(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Hyunbin Jo
  • 김성기(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Seong-Ki Kim
  • 라긍환(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 | Geung-Hwan La
  • 주기재(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Gea-Jae 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