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휴공간을 활용한 농촌마을 쉼터 디자인 제안 KCI 등재

A Proposal for the Design of Rest Spaces Underused Spaces in Rural Vill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3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 쉼터가 농촌개발사업의 한 갈래로 계획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주민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이 계획하여 조성하는 마을 쉼터의 경우 대규모로 조성이 되는 경우가 많고 부지의 선정 및 확보에 문제가 있어 접근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은 마을쉼터의 활용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농촌주민의 실질적인 쉼터로서의 활용을 위해서는 농촌마을의 유휴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소규모 쉼터를 분산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휴공간을 활용한 농촌마을 쉼터의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후행연구에서 다양한 디자인의 마을쉼터가 연구되어 농촌마을 주민들에게 생활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커뮤니티 형성에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하며 물리적 환경개선을 통하여 쾌적성 및 심미성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그에 따라 농촌마을 쉼터에 대해 고찰하고 농촌마을 실정에 맞는 유휴공간을 활용한 마을쉼터 디자인을 제안하여 농촌마을의 특색을 담아 활용성을 높이고자한다.

This study considers rural rest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rest space designs for rural villages, that makes use of underused spaces. Although rural rest space projects are part of rural development plans, they are not satisfying the demands of local residents. Also, in the case of newly created rural rest spaces, plans are usually large-scale plans, so there are difficulties with regard to selecting large sites, and thus making the space less accessible. Such problems result in poor usability of the rural rest spaces. To enhance the practicality of the rest spaces, creating scattered small-scale areas by utilizing underused spaces in rural villages is likely to be more appropriate than creating big large-scale rest area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rural rest space designs that utilize underused spaces. With this study, follow-up researches for designing diverse rural rest spaces are expected, to provides convenience for local residents, contribute to forming-local communities with better physical environments, and eventually enhancing the comfort and esthetics of the spaces.

저자
  • 김진표(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Kim, Jin Pyo
  • 정소영(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Jeong, So yeong
  • 서주환(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Suh, Joo Hwa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