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촌마을 종합개발 사업의 어메니티 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Amenity Resources for a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3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농촌 활성화를 위한 국가 지원 사업 중 농촌 마을 종합 개발 사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실행되고 있는 권역의 사업내용에 대한 지역별, 연도별 분류를 통해 사업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진행된 사업의 내용 및 자원현황을 파악하고 사업내용에 따른 어메니티 자원 활용 정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어메니티 자원 활용도 분석을 위하여 7년간(2005~2011) 229개 권역의 사업특성과 자원현황에 대한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전체 사업은 Excel로 권역명과 사업유형, 세부사업 등 229개 권역의 전수조사를 통해 코딩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7개년도의 사업내용과 지역별 사업내용 등 보다 세부적인 분류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인 권역의 시설물자원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환경관리와 관련된 자원의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사업을 통한 어메니티 자원 활용에 대한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환경관리 자원, 동식물 자원, 수자원을 활용한 사업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지역별 사업을 통한 어메니티 자원 활용에 대한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전라북도와 경상북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특정한 자원에 집중되어 활용되고 있는 어메니티 자원에 대한 다양한 활용의 필요성이 나타나고 있었고 특히 농촌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환경관리에 대한 자원 활용이 요구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a rural village reconstruction business that is a priority under the national support act for rural village vitalization. Allowing for an analysis of the regional and annual classification of business contents as part of the master district implementation plan, this research presents amenity resource ap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business contents and resource status reports.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amenity resources in the rural villages’ overall development business, a content analysis of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299 districts was conducted for a seven-year period (2005-2011). Information that included district names, enterprise types, and specifications of a particular business, were coded in Excel, through exhaustive research of the 299 districts. Using this process, a more detailed categorization of seven years of business data, periodic, and regional business contents were defin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apparent that the overall district’s facility resources are optimized for the most, and that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resources, including animal and plant resources, as well as water resources, is continuously decreasing, as was shown in the annual amenity resource usage transition. The annual amenity resource usage transition data denotes the highest rates in Jun-Ra-Buk-Do and Kyung-Sang-Buk-Do. In summary, this analysis verified the urgent need for diverse amenity resource utilization, research on practical alternatives, and the resource optimization of environmental contro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rural areas.

저자
  • 최유나(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Choi, Yoo Na
  • 서주환(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Suh, Joo Hwa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