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사리공 내에서 출토된 납유리 9점의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여 납 원료의 산지를 추정하고, 이를 왕궁리 출토 납유리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납유리는 주화학성분 분석결과, PbO가 약 70 wt.%, SiO2가 약 30 wt.% 함유된 전형적인 PbO-SiO2계의 유리였다. 납동위원소비를 이용한 납유리의 원료산지 추정결과, 기존 동북아시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로는 대부분이 한국북부의 방연석 광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로는 한국남부의 방연석 광산이 납유리의 주요 원료 산지로 추정할 수 있어 두 분포도의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또한 동일지역, 동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왕궁리 출토 납유리의 기존 연구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납 원료의 산지가 서로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trace the provenance of lead raw materials using the lead isotope ratio of 9 lead glasses excavated from the Sarira hole of Mireuksaji stone pagoda and to determine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other lead glasses excavated from the Wanggungri site.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is of the 9 lead glasses show that they are common lead glass system(PbO-SiO2)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of PbO (70 wt.%) and SiO2 (30 wt.%). The lead isotope ratios of them plot to northern Korean peninsula when applied to the distribution map of lead isotopes of East Asia. On the other hand, southern Korean peninsula is verified as the main deposits of the lead ore in the distribution map of lead isotopes of South Korea. With respect to the results, it is notable that the provenance of the 9 lead glasses can be very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map. In additi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m and the lead glasses excavated from the Wanggungri which was built in the same region and period shows that their lead isotopes are highly cor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