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창군 광승리 연안 퇴적층의 퇴적 시기와 범람 기원 특성 KCI 등재

Burial Age and Flooding-origin Characteristics of Coastal Deposits at Gwangseungri, Gochanggu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4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고창군 광승리 지역의 해발고도 5 m 내외의 해안 지점(DH)과 해발고도 10-15 m의 단구 상부 지점(KS)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 분석과 입도 분석 등을 통하여 퇴적 물질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DH는 풍화된 기반암을 피복하는 적색 토양층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물질 조성이 점진적으로 변화하였다. DH 시료 내에 점토광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이 층을 제자리 풍화층으로 판단하였다. KS의 경우 구릉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자갈층을 피복하는 층으로 물질 조성이 전반적으로 DH 부분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구간에서 물질의 교란이 일어나거나 외부 물질의 유입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입자의 입도에 있어서 KS 시료들은 현재의 해빈 물질과 다른 특성이 나타난다. KS의 하부는 해빈에 비하여 세립 물질로 나타났으며, 중간 부분은 해빈보다 조립 물질이다. KS 시료의 분급은 해빈에 비하여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퇴적층중 일부는 지속적인 파랑과 조류에 의한 것보다는 일시적인 고에너지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KS 부분 시료의 매몰 연대는 광여기루미네센스(OSL) 분석에 의하여 0.65-0.71 ka로 추정되었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해당 퇴적층과 형성 과정의 특성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야 할 것이지만, 해당 퇴적층은 폭풍에 의한 연안 범람 퇴적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Samples were collected from both places including the coastal area within the height of 5 m above the mean sea level (msl) (DH) and the top of the coastal terrace of 10-15 m msl (KS) high in Gwangseungri, Gochanggun, Korea. To find the origin of the deposit in the coastal area, granulometric analysis and geochem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DH samples were originated from the reddish soils overlaying weathered bedrock which presented gradual change of chemical composition from the bottom toward the top. Clay minerals were found from the DH samples. These results concluded that the DH samples were found as in-situ weathered materials. The KS samples were originated from the soil layer covering gravel layer at the foot slope of the hill along the coast. The KS samples contained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from the DH. It is inferred that some of this layer was disturbed or experienced the influx of foreign material. The particle size of the KS samples was different from those found on the beach. The particle size of lower parts of KS site was finer than that on the beach, but the particle size of middle part of the site was coarser than that on the beach. The sorting of the KS site was poorer than that on the beach. Thus, it is inferred that some parts of the layer were formed by short-lived high energy event rather than sustained and continuous action of tidal currents and/or waves. Analysis using an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method showed that the burial age of samples from KS site were found 0.65-0.71 ka. 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 layer and forming event in this area should be further studied,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sedimentary layer formed by coastal flooding with storm.

저자
  • 김종연(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Jong Yeon Kim Corresponding author
  • 양동윤(한국지질자원연구원) | Dong Yoon Yang
  • 신원정(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Won Jeong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