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광승리 지역의 해발고도 5 m 내외의 해안 지점(DH)과 해발고도 10-15 m의 단구 상부 지점(KS)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 분석과 입도 분석 등을 통하여 퇴적 물질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DH는 풍화된 기반암을 피복하는 적색 토양층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물질 조성이 점진적으로 변화하였다. DH 시료 내에 점토광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이 층을 제자리 풍화층으로 판단하였다. KS의 경우 구릉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자갈층을 피복하는 층으로 물질 조성이 전반적으로 DH 부분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구간에서 물질의 교란이 일어나거나 외부 물질의 유입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입자의 입도에 있어서 KS 시료들은 현재의 해빈 물질과 다른 특성이 나타난다. KS의 하부는 해빈에 비하여 세립 물질로 나타났으며, 중간 부분은 해빈보다 조립 물질이다. KS 시료의 분급은 해빈에 비하여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퇴적층중 일부는 지속적인 파랑과 조류에 의한 것보다는 일시적인 고에너지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KS 부분 시료의 매몰 연대는 광여기루미네센스(OSL) 분석에 의하여 0.65-0.71 ka로 추정되었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해당 퇴적층과 형성 과정의 특성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야 할 것이지만, 해당 퇴적층은 폭풍에 의한 연안 범람 퇴적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지형 분류도란 지형학적인 관점에서 지형을 분류하고 특정 지형과 구성 물질의 공간적 분포, 물질의 이동 경로, 형성 시기, 지배적인 지형 형성 영력을 지도상에 표현한 지도이다. 현대적인 지형 분류도의 작성은 1950년대 이후의 지형학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기법으로 평가 받아왔다. 특히 지형 분류도는 환경 보존을 위한 보존 대상 지역의 선정, 재해 방지를 위한 계획의 마련, 특정 시설 건설을 위한 정보의 제공이라는 사회적인 기여를 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국가적인 차원의 지형 분류도 작성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국가 차원의 지구 과학 정보의 일환으로 지형 분류도를 제작하여 서비스하고 있는 독일, 스페인, 네덜란드, 이탈리아, 스웨덴 등의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형 분류도 제작 분야 연구자들이 제시한 다양한 지형 분류도용 범례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지형 분류도의 범례들은 지표면의 전반적인 형상, 특정 지형, 해당 지형을 형성한 지형 형성 작용, 구성 물질, 형성 시기 등을 표현하고 있다. 이들의 표현을 위해 다양한 기호와 색상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우리나라에서의 표준 지형 분류도의 제작을 위해서는 기존의 보존 지역 선정 목적의 지형 분류 체계를 지형 형성 과정과 지형의 규모를 중심으로 재분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형 분류도 제작 지역의 지형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 조사 중심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환경영향평가 등과 같은 자연 환경에 대한 공식적인 조사에 활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한반도와 주변 수역의 이름에 대한 논의는 국제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의 과정에서 유럽에서 제작된 다양한 지도상에 나타나는 수역의 명칭에 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으나, 실제 어떤 자료가 각 국가들의 지명에 대한 입장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파악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국립기록보존관이 소장하고 있는 1920년대 이전에 간행된 한국과 한반도 주변 지역에 대한 지도 자료들을 조사하였다. 해당 자료들은 영국 정부의 공문서로 남은 자료들로 당시 영국정부가 직접 제작하거나, 수집한 지도 자료들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에는 영국전쟁성의 자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다루었다. 당시 영국 정부는 항해와 군사적인 목적으로 보았을 때 실용적인 자료들, 그리고 근대 지도학적인 관점으로 보았을 때 가치가 있다고 추정되어진 자료들을 주로 수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19세기 중반 이후에 간행되고, 경위선과 삼각점과 같은 근대 측량의 기법에 가까우며, 위치 정보가 명확히 드러나 있는 자료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영국 정부 자체가 생산한 한국에 관한 자료들은 중국과 일본에 주재하던 영국군 무관들에 의해서 수집, 제작되었으며, 일본이 제작한 지도들이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에 대한 전면적인 근대적인 방식의 측량이 한국의 국권 상실 이후 이뤄진 것을 감안한다면, 지리적 좌표 등에 대한 사항은 불가피한 면이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앞서 논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당시의 지리정보에 대한 정의에는 당시의 근대적 사고가 배경에 깔려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당시 영국 정부 기관과 지도 제작자들은 지도에 표기하기 위한 지명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본에서 획득된 정보들을 수합한 지명 요록을 사용하였다. 특히 영국 외교관인 어네스트 사토우, 일본인 곤도 마코토, 고토 분지로의 한국 관련 지명의 정리가 당시 서양 국가들의 한반도와 인근 지역 지명의 표기에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지명은 크게 그 사용 주체와 결정 주체에 따라서 내부지명과 외부지명으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를 둘러싼 외부 지명들 가운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18세기 이후의 서부 유럽 세력의 동아시아 진출 과정에서 만들어지고 전파된 ‘통상적 영어지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상적 영어지명’의 확립에 영향을 미친 영국의 지리학회들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19세기에 창립된 영국의 지리학회들은 해외에서 활동한 군인과 외교관들이 수집한 동아시아에 대한 정보에 대한 독회를 추진하고 그 결과물들을 간행하여 지리 지식을 전파하였다. 이러한 지리학회의 활동을 통하여 다수의 지명과 지리 정보들이 수집되었고 이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관련자들이 수집한 다양한 정보는 지도 제작자들에게 전달되면서 지도 간행에 이용되었으며, 이후 영국지명위원회가 주도하는 지명의 표준화에 상당한 기여를 하게 된다. 영국지명위원회의 주도 하에 이뤄진 영국의 지명표준 화는 이후 국제수로기구의 「해양과 바다의 경계」도서의 초안 마련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의 연구를 통하여 한반도와 주변 지역에 대한 조사를 행한 외국인들이 남긴 기록상의 한국 관련 외부지명의 체계적인 정리와 외국인 지도학자들에 의한 활용 상황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of children care social welfare facilities. Questionnaire were sent to the directors of all 275 children welfare facilities in Korea and 107 returned facilities in korea and 107 returned the complete answers. These questionnaire were answered by manager. Equipments were evaluated by investigators using the evaluation form. staffing structure revealed that most of the facilities had a director, a secretary, nurse, but only 15% of the system hired a dietitian. It showed the shortage of nurse, physical therapists, and dietitian. Therefore, food purchasing, menu planning, food delivery, and the other food service management processes are handled by non-professionals, such as director, secretary, or cooks. Food purchasing money of total budget is 10~20%. Food purchasing place in most facilities was market place. Foodstuffs were almost purchased 2~3 per weeks. 90% of the welfare facilities were used the menu. Modifi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ere used to get the frequencies of each food items used in menu. The results showed relatively satisfactory in food frequencies, however, this was about what was used in menu, not vat was eaten by the residents. conditions of most equipments in the kitchen were defective specially in dishwashing and sterilization step.
제브라피쉬 배아 유래세포의 최적 성장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3종류의 배지 DMEM, K-NAC, D-NAC 그룹에서의 세포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접종밀도에 따른 성장률의 경우, DMEM에 비해 K-NAC 그룹에서 초기 접종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후기 성장률은 DMEM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K-NAC, DMEM 그룹 모두 FBS 농도에 의한 성장차는 보이지 않았으며, 0.1% embryo extract를 첨가한 배지에서 효과는 낮게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