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파프리카 온실에서 담배가루이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Sequential Sampling Plan for Bemisia tabaci in Paprika Greenhou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6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파프리카(Capsicum annuum var. angulosum)의 주요해충인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의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표본조사법(Fixedprecision sampling plan)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표본 조사법은 파프리카 온실의 담배가루이 방제체계 확립을 위해 공간분포분석, 표본추출 정시선 그리고 의사결정법으로 이루어 졌다. 자료 수집은 식물체를 상단(지상으로부터 180-220 cm), 중단(지상으로부터 80-120 cm), 하단(지상으로부터 30-70 cm)로 나누어 각 위치별 3개의 파프리카 잎에서 담배가루이 성충, 번데기를 관찰하고 그 총 수를 기록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은 식물체의 상부에서 움직이고 신초에 주로 산란하며 일정부분이 하단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상단과 하단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번데기의 경우 상부에 알을 낳았지만 식물체가 크면서 알을 낳은 잎이 아랫부분이 되고 부화한 유충은 잎 뒤에 고착 상태로 우화까지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중단과 하단에서 많이 분포하였다. 공간분포분석은 Taylor’s power law (TPL)를 이용하였으며, TPL계수의 차이를 공분산분석(ANCOVA)하여 차이가 없는 경우 자료를 통합하여 계산된 새 TPL 상수값을 이용하여 표본추출 정시선을 구하였다. 그리고 담배가루이 성충과 번데기의 방제밀도수준을 2.0마리와 10.0마리로 설정하여 방제의사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독립된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표본추출법의 유효성을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RVSP) 프로그램으로 평가한 결과 적합한 정확도를 보였다.

In order to establish B. tabaci control in paprika greenhouses a fixed-precision-level sampling plan was developed. The sampling plan consisted of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a sampling stop line, and decision making. Sampling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in two independent greenhouses (GH 1, GH 2). GH 1 and 2 were surveyed every week for 22 consecutive weeks, using 19 sampling locations in GH 1 and 9 sampling locations in GH 2. The plant in both greenhouses were divided into top (180-220 cm from the ground), middle (80-120 cm from the ground) and bottom (30-70 cm from the ground) sections and B. tabaci adults and pupae were observed on three paprika leaves at each position and recorded separately. GH 2 data were used to validate the fixed-precision sampling plan, which was developed using GH 1 data. In this study,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aylor’s power law with the pooled data of the top and bottom position (B. tabaci adults), and the middle and bottom positions (B. tabaci pupae), based on a 1-leaf sampling unit. Decision making was undertaken using the maximum of action threshold in accordance with previously published method, and the value was decided by the price of the plants. Using the results obtained in the greenhouse, simulated validation of the developed sampling plan by RVSP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indicated a reasonable level of precision.

저자
  • 최원석(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 Wonseok Choi
  • 박정준(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ung-Joon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