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와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Terpenoids-Rich Plant Extracts on Ruminal-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7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기농업학회지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한국유기농업학회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티머시(timothy)와 농후사료를 6:4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물 추출물은 박하(Mint), 소나무(Pine), 삼나무(Japan cedar), 초피나무(Sichuan pepper), 편백(Hinoki cypress) 그리고 해송(Japanese black pine)을 사용하였으며,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g 티머시와 식물 추출물(기질의 5%)이 담긴 50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로 15ml를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 150rpm으로 3, 6, 9, 12, 24, 48 및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 결과 pH 값은 점점 감소하였으며, 전 배양시간에 걸쳐 대조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건물 소화율은 배양 3시간대는 Mint 처리구만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나, 이후 24시간까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성이 없었다. 총 가스 발생량은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았으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배양 12시간대까지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메탄 발생량의 경우 24시간대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미생물 성장량은 첨가구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나타냈으나 24시간대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성장량이 감소하였다. 암모니아 측정량은 배양 12시간부터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72시간대는 감소하였다. acetic acid 및 propionic acid도 대조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한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 6종 모두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Mint 및 Pine 추출물은 총 VFA, acetic acid 및 propionic acid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반추위 발효성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 발생을 저감하는 식물 추출물로는 Mint 및 Pine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erpenoids-rich plant extracts (TRPE) on the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The ruminal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fed concentrate and timothy in the ratio of 6 to 4. The TRPE as Mint (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Pine (Pinus densiflora), Japan cedar (Cryptomeria japonica), Sichuan pepper (Zanthoxylum piperitum), Hinoki cypress (Chamaecyparis obtuse) and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were used in this study. The 15 mL of mixture, contains McDougall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of 2 to 1. The mixture was dispensed anaerobically 50 mL serum bottles and it is contained 0.3 g timothy substrate and 5% TRPE. The bottles were incubated at 39℃ for 3, 6, 9, 12, 24, 48 and 72 hours. The pH value decrease by increased incubation times and the pH values at all tim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reatments than in control.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t 3 hour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mint treatment than in control. Productions of total gas and carbon dioxide at before 12 hours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reatments than in control. The methane production at 24 hours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treatments than in control. The concentrations of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 at 24 hour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mint and pine treatments than in control. In conclusion, the terpenoid-rich plant extracts were shown to decreased methane emission and without adversely affected ruminal fermentation. Therefore, the terpenoid-rich plant extracts as mint and pine were shown to decreased methane production and it has potential possibility for ruminal fermentations.

저자
  • 황희순(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Hwang, Hee-Soon Corresponding author
  • 하동욱(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Ha, Dong-Uk
  • 이수경(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Lee, Su-Kyoung
  • 이일동(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Lee, Il-Dong
  • 이신자(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Lee, Shin-Ja
  • 이성실(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Lee, Sung-S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