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패션 편집매장의 VMD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Fashion Select Shop's VMD on the Store Loyal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편집매장의 VMD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패션 편집매장의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20~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215부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편집매장의 VMD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매장구성, 공간 및 시설, 상품연출, 매장환경의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편집매장의 점포충성도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점포만족, 점포신뢰의 2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점포충성도에서 ‘점포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VMD요인은 매장구성, 상품연출요인이며, 점포충성도에서 ‘점포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VMD요인은 매장환경, 매장구성, 공간 및 시설, 상품연출로 나타났다. VMD 요소는 점포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편집매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VMD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lect shop's VMD affects on store loyalty and was to provide the strategic store plan of fashion select shop.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conducted on 215 of 20s-30s' consumer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and was analys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linear regres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select shop stores: First, VMD wa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such as in-store structure, space & facilities, product performance, in-store environment. Second, Store Loyalty was classified into two factors such as store confidence and store satisfaction. Third, VMD factors influencing the 'store satisfaction' in store loyalty was store construction and product performance, VMD factors influencing the 'store satisfaction' in store loyalty was in-store environment, store construction, space and facilities, and product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select shop's VMD has direct influence on the store loyalty more weight should be put on VMD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select shop.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대상

2. 이론적 배경
  2.1. 패션 편집매장
  2.2. VMD
  2.3. 점포충성도

3.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3.2. 측정도구 및 자료 분석

4. 연구결과 및 논의
  4.1. 인구 통계적 특성
  4.2. 패션 편집매장의 구매행동
  4.3. 패션 편집매장의 VMD 유형화
  4.4. 패션 편집매장의 점포충성도 유형화
  4.5. 패션 편집매장의 VMD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현주(수원여자대학교 패션브랜드매니저과 교수) | Kim, Hyeon 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