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아일보” 한글활자 개발과 개량 (1927-1934) KCI 등재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Hangeul Ming-style printing types by “the Dong-A Daily News” (1927-1934)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3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동아일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한문 혼용체“ 한성주보”(1886) 의 창간 이래 , 민간신문사와 출판사에서 본문용으로 한글 4 호 활자가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던 , 일변도에서 변화를 추구하였다 . “ 동아일보”는 1929 년 대대적으로 신활자 개발과 최신식 인쇄시설의 확충를 계획했다 . 이 활자의 서체는 한국 최초로 일반인에게 공모하여 , 이원모 원도로 제작되었다 . 이 활자는 제작 후에도 2 년간의 실험기간을 거쳐서 완성도를 높이는데 노력하였다 . 모형활자와 종자의 조각 등은 일본에서 제작되었다 . 그리고 , 당시 식민지시대의 특수한 상황에서 한글 활자 제작을 위하여 명확한 컨셉은 , 한자와 한글의 혼용체의 사용 의도에 따라 , 한자의 명조체에 어울리는 한글 명조체의 개발이었다 . 한국 근대 인쇄 활자사에 있어 ,“ 동아일보”는 1933 년 한국 신문사 최초의 자사 전용의 명조체 한글 활자 셋트 ( 초호 , 1 호 , 3 호 , 5 호 , 7 포인트 ) 와 고딕체 2 호 , 4 호 활자가 탄생하게 된것이다 . 그러나 이렇게 중요한 내용인데도 불구하고 그 가치가 경시되고 있다 . 따라서 , 본 연구는 언제 , 어디서 , 누가에 의해 , 어떻게 제작 되었는가 질문을 가지고 , 자료조사의 실증적 검증과 타이포그래피의 분석을 통해서 명확히 정리했다 .

목차
1. 서론

2. “동아일보” 창간 배경과 목적

3. “동아일보” 지면 개선과 활자 개발
  3.1. 한글 신활자 개발의 모색 
  3.2. 지면 개선을 위한 활자 개발과 개량
  3.3. 인쇄 기계와 인쇄 시설의 개선

4. “동아일보” 한글 신서체 모집과 개발 동향
  4.1. 한글 자체(字體)의 디자인 컨셉 
  4.2. 원도자 이원모의 역활
  4.3. 일본에 있어 모형활자의 개발 동향 
  4.4. 제작 기간과 제작 비용

5. “동아일보” 한글 신서체의 분석
  5.1. 한글 명조체 초호 활자 
  5.2. 한글 명조체 1 호 활자
  5.3. 한글 명조체 3 호 활자 
  5.4. 한글 명조체 5 호 활자
  5.5. 한글 명조체 7포인트 활자 
  5.6. 한글 고딕체 4호 , 2호 활자
  5.7. 한자 명조체 , 고딕체 7 포인트 활자

6.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류현국(국립대학법인 츠쿠바기술대학교 종합디자인학과 교수) | Ryu, Hyun g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