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pparel Product Quality Recognition of Dongdanmoon Fashion Market
본 연구의 목적은 동대문 패션시장의 의류제품 품질구성요소를 알아보고, 품질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지역의 20대 이상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하였으며,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설문지방식으로 측정되었다. 자료 분석은 요인분석, 대응표본 t-test,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의류제품 품질구성차원은 심미성, 의복 관리성, 실용성, 상징성, 개성 차원의 5개로 구성되었다. 즉 심미성은 색상, 디자인 등 미적요소를 의미하였고, 의복 관리성은 의류제품을 구성하는 세부속성들의 관리 측면을 설명하였다. 또 실용성은 활동의 편안함, 착탈의 편안함 등의 의복착용의 실용적인 측면을, 상징성은 사회적인 품위와 지위를, 개성표현은 유행성이나 상품의 차별화 항목을 의미하였다. 그리고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개성차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격차분석 그래프 상에서 심미성은 I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현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강점 항목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상은 IV영역으로 품질개선이 요구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징성, 관리성, 실용성은 III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quality factors of apparel product in Dongdaemoon fashion market and to find attributes of quality which improvement are required. Women over 20 years in the Seoul district participated in the stud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A questionnaires was arranged with three separates subject sections, importance degree of quality, satisfaction degree of purchased apparel product in Dongdaemoon, and demographic factors.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paired-samples t-test and frequency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pparel product quality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ive subdivisions by factor analysis; aesthetic, garment management, usefulness, symbol and individuality. Among quality attributes on apparel produc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ortance degree and satisfaction degree; important degree was higher than satisfaction degree to four factors of aesthetic, garment management, usefulness, and symbol except for individuality. In graph according to gap analysis, aesthetic attributes were included in I area, strengths, maintained presently quality levels. Especially, color was included in IV area, attributes that attention, required of quality improvement. Symbol, garment management and usefulness were included in III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