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육과정 개발과 분석에 따른 대안 매체디자인 교육 교재 개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Dept. of Alternative Ad Design Curriculum & Textbook: From the Angle of Design Education Specializ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1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산업 현장에서는 디자인 고유 영역의 변화와 확장을 거치면서 디자인 능력과 구현에 있어서 보다 다양하고 심도 있는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급격한 디자인 교육의 양적 팽창은 질적 저하를 초래한 면이 있어, 디자인 산업 변화에 대응한 다양화, 특성화, 차별화 된 교육과 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하다. 또한 산업계의 요구와 현장 내용을 교과목으로 반영하여 학교와 현장의 갭을 극복, 디자인 문제 파악과 프로세스 관리능력을 갖춘 디자이너의 배출을 위해 현장의 요구에 따른 교과과정 및 교과목 연구가 필요하다.

The change of industrial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and tools in an information age has brought the necessity of educating more various and prominent design professionals. This study has tried to develop a diversified,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specific design professionals in this industry. A curriculum of alternative ad design is developed through DACOM Job Analysis as an education specialization plan of junior college. Base on this curriculum, the teaching material has been created and used in educational fields. This material has been fixed and proofread, which it made the frame of teaching aids.

목차
영문초록

Ⅰ. 서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Ⅱ. 선행연구의 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
1. 옥외광고디자인 교육과정 도출 
2. 산업체 실태조사를 통한 직업코스의 결정
3. 기존 DACUM챠트의 주요 항목분석

Ⅲ. 실무 교육교재의 개발과 실행

Ⅳ. 외국교육기관 교육교재 검토
1. Sign College Courses 
2. Fastsign learning Center

Ⅴ. 외국교육 교재 및 문헌분석을 통한 교재

Ⅶ.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정숙(혜천대학 광고홍보디자인과 부교수) | Kim, Jung-S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