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ransition and Influence of Technique of Car Design in Japan - Style of Full Model Change, Created Concept and Value of Design - KCI 등재

일본의 자동차 디자인의 기술의 변천과 그 영향 - 풀 모델 체인지의 형태와 창출되는 컨셉 및 디자인적 가치 -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3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자동차 업계에 있어 오늘날 차량 개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업무가 모델 체인지이다. 국내 마켓이 소규모인 일본에서는 유럽과 미국에 비해 사이클이 짧으며 빈번한 모델 체인지를 실시해 왔다. 모델 체인지의 본연의 자세나 형태는, 그 자체가 개개의 디자인성을 포함한 제품 성능 향상의 발판으로서 기능을 하였다. 따라서 그것들은 다양성이 풍부하여 그때마다 시대의 가치관이나 문화적 배경을 현저하게 반영하면서 새로운 가치관의 창출에 기여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 대표적인 차종의 모델 체인지에 관하여 제품 디자인의 시점으로부터 평가·고찰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모델 체인지를 계기로 하는 파생 추가나 분파 등 라인 업의 충실이나, 반대로 복수의 차형의 정리 통합에 의한 내적 진화 등 시대성이나 기업 전략에 보장 받은 여러 가지의 형태와 컨셉이 확인되었다. 표면상으로는 다르게 보이는 그것들이 근본적으로 공통성을 갖고 있는 요인으로서 차량 디자인의 특수성이 사실은 제품·디자인의 원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형태의 집착」에 있다는 것을 재인식하는 것이다.

Today, the main work that occupies the majority of the car industry is Model-change. Frequently, compared with Europe, Model-change is short cycled and it has been done in Japan's market which is a small-scale. The method and the form of Model-change functioned as a chance to the product improvement including quality of each design. Therefore, in every case, clearly reflecting sense of values and the culture in the age, they contain a lot of varieties, and it has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new sense of values. In this article, the evaluation and consideration of those typical Model-changes were tried from the aspect of product design. As a result, various forms and concepts in the background of age and corporate strategy were confirmed. Those are the enhancement of lineup by addition or independence according to Model-change, or, inner evolution by consolidation of some car types. It was recognized again as the factor common to them that the distinctiveness of the vehicle design was in "Stuck to shape" which was actually the origin of product design.

목차
영문초록

1. Introduction
2. Transition of Model-Change
   2.1. The Events until Next FMC
   2.2. The Difference between Modification and Model-Change
   2.3. Grounds of Model-Change
   2.4. Meaning of Brand in Model-Change
   2.5. Consideration of Stuff of Development
3. Factor and Schedule of Model-change
   3.1. Factor and Schedule of Model-change
   3.2. The Generation's Repetition of Model-Change
4. Basic Form and Conceptual Composition of Derived Form
5. Transition of Form of FMC
   5.1. Succession of Basic Car Type / In Case of Skyline
   5.2. Type of Separation and Independence / In Case of Corona
   5.3. Type of Campaign / In Case of Corolla
   5.4. Type of Independence / In Case of Civic
   5.5. New Concept vs. Keep Concept
6. Conclusions

References
저자
  • Honma, Iwao(일본국립츠꾸바기술대학교 생산디자인학과 교수) | 혼마이와오
  • Yoo, Hyun-Bae(나사렛대학교 캐릭터디자인학부 교수) | 유현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