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빌딩 표피 디자인 트렌드를 통해 본 서울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skin design trend that represents the city identity of Seou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7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세계가 점차 글로벌화되어 도시간의 이동이 잦고 뚜렷한 특성의 격차가 점차 모호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도시 디자인, 즉 아이덴티티는 여전히 해당 도시로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매력요소임에 틀림없다. 타 도시와 차별화되는 독특한 도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 도시가 그들 자신을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를 강조하여야 한다. 특정 도시를 인지하는 프로세스에서 큰 역할을 하는 명확하고도 뚜렷하게 차별화되는 도시 아이덴티티의 정립은 특히 국제사회에서 해당 도시의 경쟁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관광산업을 활성화시키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서울이라는 도시의 빌딩 표피 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서울이 갖는 도시 아이덴티티를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한국의 도시의 형성은 전쟁 이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전쟁 이전에 갖는 한국 고유의 전통적 도시 이미지와 매우 다르며, 이는 타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독특한 역사를 갖는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효율성을 극대화한 박스형, 장식요소가 과도한 사인보드, 국적과 스타일의 분류가 어려운 장식적 요소의 사용, 초고층에 대한 욕망, 그리고 전통적 스타일의 변화를 통한 명맥유지, 그리고 해외 스타건축가들에 의존한 패셔너블한 표피의 표현으로 서울이 갖는 아이덴티티를 유형화할 수 있다.

In spite of globalization, the unique city identity attracts people to certain city, and it becomes the base for national power now. To set up unique city identity, each city strives to build their own image which can differentiate from the others. Through the firm city identity establishment, each city can get a lot of benefits, such as the image and cognition of the city, and also strengthen the diplomatic power and vitalize the tourist industry. The main objectivity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identity of Seoul, Korea, which undergoes historically chaotic stage in terms of city identity formation comparing to other metropolises in developed countries, as examining a design tendency of building skin. The result of skin tendency of Korea can be represented with following issues; a cube for efficiency maximization, excessive ornamentation—signboards and nation and style indefinable decorative elements uses, and desire of high-rise and lack of tradition without any uniqueness that can act as a real national power now, and fashionable skin creation relied on star architect in abroad.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내용

2. 문헌고찰
    2.1. 빌딩 표피(skin)의 개념
    2.2. 빌딩 표피의 발전 역사

3. 빌딩 표피의 디자인 경향 분석
    3.1. 효율성을 강조한 큐브
    3.2. 출처 불명의 장식요소의 사용
    3.3. 초고층 건물의 급성장
    3.4. 전통적 스타일의 명맥 유지
    3.5. 패셔너블한 표피와 새로운 가능성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오정아(김포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과 강의전담교수) | Oh, Jung-Ah
  • 정현원(김포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과 교수) | Jung, Hyun-W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