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날로그 이미지와 디지털이미지에 있어서 스테레오타입의 특성 및 평가 KCI 등재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Stereotypes in Analogue Images and Digital Im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7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우리는 흔히 은유적(METAPHORICAL)인 표현으로서 아날로그 이미지(ANALOG IMAGE : AI)또는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 DI)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브라운관 TV를 보면 AI라고 느낄 것이며, 최근의 디지털TV를 보면 DI로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품으로부터 AI와 DI를 느끼게 하는 시각적 자극요소에는 사람에게 그렇게 느끼게 하는 어떤 특정한 스테레오타입(STEREOTYPE : ST)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그것이 무엇인지 실험을 통하여 밝히려 하였다. 1차 2차 실험결과 여러 다양한 요소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AI를 가진 제품에서는「곡선적」「둥근」그리고, DI를 가진 제품에서는「심플한」「각이 있는」「사각의」「직선적」등 기하학적 형태와 관련된 요소가 매우 강하면서도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 AI와 DI를 구분 짓게 하는 중요한 ST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형태에서 느껴지는 AI와 DI의 상이한 ST가 존재한다는 결과로부터 형태요소가 AI와 DI를 구분 짓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 착안하여「형태(shape)」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3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삼각형으로부터 점점 원으로 변환해가는 과정에 있어서 사람들의 AI에서 DI로의 변화시점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피험자들로부터 그 변화 시점을 명확히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즉 AI와 DI의 변화 시점이 존재한다는 것은 AI와 DI의 판단에 있어서 ST가 확실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We commonly use analogue image (AI) or digital image (DI) as metaphorical expressions. This means that, for example, when we see a Braun tube TV we feel AI, and when we see a latest digital TV, we feel DI. As such, after establishing a hypothesis that a particular stereotype (ST) exists in the visual factors that make people feel AI and DI from products, this thesis attempted to verify it through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e 1st and 2nd experiments showed that various factors were involved, and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s with AI had strong factors related to ‘curvilinear’ and ‘round’ but different geometric shapes and the products with DI had strong factors related to ‘simple,’ ‘angled,’ ‘rectangular,’ ‘linear’ but different geometric shapes and these were important ST factors that distinguish between AI and DI.
Thus, noticing that shape elements are important factors for distinguishing between AI and DI from the results that different STs of AI and DI felt from shapes exist, the 3rd experiment was conducted focusing on ‘shape’ elements. The experiment attempted to confirm the change point at which people’s AI change to DI in the process of triangles gradually converting to circles, and the change point could clearly be confirmed from the subjects.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 change point of AI and DI exists means that ST clearly exerts influences on judging AI and DI.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AI와 DI에 있어서 ST의 분류
  2.1. 스테레오타입
  2.2. 1차 실험방법 및 내용
  2.3. 2차 실험방법 및 내용
  2.4. AI와 DI에 대한 ST키워드 추출

3. 기하학적 형태에 있어서 AI와 DI의 ST평가
  3.1. 3차 실험 연구배경 및 목적
  3.2. 3차 실험방법 및 내용
  3.3. 단순집계와 기술통계 결과
  3.4. 기하학적 형태
  3.5. 기하학적 형태에 있어서 AI와 DI의 ST평가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진승(백석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겸임교수) | Lee, Jin Se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