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공디자인을 통한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ustainable town development through public design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8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세계가 단일 공동체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경쟁 단위로서의 국가 개념보다는 지역을 중심으로 한 글로컬리즘(glocalism)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 간의 경쟁은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서 차별화된 지역만의 이미지를 만들고 있으며 그 배경에 공공디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을공동화 현상이 심화되는 지역의 재생, 다양한 계층과 문화가 복합적으로 교류하는 지속가능한 공간을 만들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공공시설물, 지역경제 활성화와 활기찬 이미지의 창출을 통한 마을 경쟁력 강화의 방안으로 그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한 공공디자인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의 정체성을 공공디자인을 통해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에 적극 활용함으로서 새로운 이미지 창출, 즉 다른 지역들과 차별화되는 그 마을만의 조형과 정신, 지역 활성화로 모든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다.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는 공공디자인을 통해 지역공동체 활성화로 마을이 살아나고 정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을 갖고 있으며, 마을의 공공공간과 주민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세심하게 실행되어야 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지역의 정체성이 반영되어 정주민의 삶과 함께 하는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single community of the world, glocalism competition which focuses on local rather than a national concept as competitive units is intensifying, and the competition between these areas creates the differentiated image of the region through a variety of marketing and It can be said that In the background is the public design.
As a way of solving social problems by regenerating the area where village cavitation phenomenon is intensifying and making a sustainable space where the combination of the various layers and cultural exchanges, and (as a way of)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town through the creation of activation of local economy and vibrant images and a variety of the public facilities that make up living environments, the role of the public design which reflects the identity of the local is emphasized. By actively utilizing the identity of these areas in a sustainable town development projects, Creating a new image, the spirit, molding and regional development of the town tha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areas means the possibility of getting the sympathy.
Creating a sustainable village communities ha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that the village survive by activation of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public design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improve and must be carefully executed in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spaces and the inhabitants of the tow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flect the identity of the area with a design of the life of the residents.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공공디자인과 마을만들기의 이론적 고찰
  2.1. 공공디자인의 이론적 개념
  2.2. 마을만들기의 기본적 개념
  2.3.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의 기본 개념

3. 공공디자인과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
  3.1. 마을만들기의 공공디자인 방향
  3.2. 마을만들기의 공공디자인 활용
  3.3. 공공디자인을 통한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

4. 공공디자인을 통한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 사례분석
  4.1. 국내 마을만들기의 공공디자인 사례분석
  4.2. 해외 마을만들기의 공공디자인 사례분석
  4.3. 국내, 해외 공공디자인을 통한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 사례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정원영(건양대학교 인테리어학과 겸임교수) | Jeong, Won 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