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래동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유희의 상징적 표상 분석 KCI 등재

Nursery rhyme picture book illustrations Appear symbolic representation of play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3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전래동요의 리듬과 스토리의 체험은 유아뿐만 아니라 어린 시절을 겪은 성인들에게도 정말 중요한 것이다. 동요는 유아에게 아름다움을 깨닫게 해주는 심미적인 경험을 주기도 하고, 즐거움과 감동을 느끼면서 내면의 정신세계를 변화시켜 나가는데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전래동요는 표현 양상 속에서 언어유희를 즐기는 것과 동작유희를 즐기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융의 사물의 상징성과 공간의 상징성을 바탕으로 이러한 다양성이 전래동요를 살아있는 놀이하는 아동의 정체성을 알아갈 수 있다. 또한 사물의 특성을 깨닫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전래동요는 언어와 동작의 활동이다. 그러한 활동을 표상활동으로 보고 표상활동의 한축인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나타내는 것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시사점이 있다. 그림책에서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나타낸 그림책은 한정적이다. 전래동요 안의 유희와 상징을 찾아가는 과정은 어린이가 커서 훗날 어른으로 성장하였을 때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전래동요를 분석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때이다.

Nursery rhyme, rhythm, and the story of the infant 's experience, as well as adults who suffered childhood is really important. Shaking the child to realize the beauty that do have an aesthetic experience, and feeling the joy and excitement by changing the inner spiritual world is getting out of an impact. Nursery rhyme and enjoy language play in the expression patterns of playful behavior that can be divided into play. Jung symbolism and space of objects based on the symbolism of the nursery rhyme this diversity alive and discover the identity of the child to play can also realize the nature of things is helping. Nursery rhyme is the activity of language and behavior. Reported the activity of such activities and picture book illustrations of the activity of research to indicate that there are important implications. represented by the picture book illustrations in picture books is limited. Nursery rhyme and symbolism in the play cursor to the process of searching later, the children grow into adults when the nursery rhyme, so a lot of influences is needed is when trying to analyze.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전래동요
  2.1. 전래동요의 의미
  2.2. 전래동요의 특성

3. 유희의 개념
  3.1. 유희의 정의
  3.2. 언어유희와 동작유희 분류

4. 표상활동의 이론적 배경
  4.1. 표상활동의 정의
  4.2. 표상활동 단계
  4.3. 융에 의한 상징적 표상과 공간상징
  4.4. 표상활동에 대한 분석기준

5. 전래동요 그림책 분석
  5.1. 분석 1: 둥그렁뎅 둥그렁뎅
  5.2. 분석 2: 시리동동 거미동동
  5.3. 분석 3: 새는 새는 나무자고

6. 결론 및 지향점

참고문헌
저자
  • 최영옥(백석문화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 | Choi, Yeong Ok
  • 피종삼(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전공 박사과정) | Pi, Jong S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