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동의 수학 자기효능감을 위한 수학적 의사소통 학습코칭프로그램 개발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3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한국코칭학회의 Active 코칭대화 모델 6단계를 수학적 의사소통 학습에 접목하여 초등학생의 수학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코칭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을 위한 수학적 의사소통 학습코칭 프로그램 구성요소는 어떠한가? 둘째, 아동의 수학 자기효능감을 위한 수학적 의사소통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학습코칭 프로그램과 수학적 의사소통 학습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본 연구를 통해 향상시키고자 하는 종속 변인인 수학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학적 의사소통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목적 및 내용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하고 구체적인 활동 내용을 구성하고 교수 자료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아동을 위한 수학적 의사소통 학습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6학년 1학기 중심)을 위한 수학적 의사소통 학습코칭 프로그램은 총 15회기로 구성 내용은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수학 교과에 대한 단원별 내용으로 각 단원별 5회기로 구성하였다. 둘째, 본 프로그램의 특성은 구성주의 학습의 기반인 자기주도학습에 최근 우리 사회 전반에 불고 있는 인간 중심 문제 해결 방법인 코칭의 철학을 접목한 것이다. 그래서 매 회기 한국코칭학회의 Active 코칭대화 모델 6단계를 적용하여 구성하였으며, 각 단계별 수학적 의사소통 학습을 세부 내용에 맞게 적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aching program in which children can increase the mathematical self-efficacy by combin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learning with the 6 Levels of Active Coaching conversation by the Korea Coaching Association (KCA).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kinds of elements make up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Learning Coaching Program for the child?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Learning Coaching Program for the chil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adjusted by the learning coaching expert and the child education exper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 program consists of 15 sessions. The program is composed of contents of each chapter regarding mathematics for the 6th grade student in the elementary school. Each chapter is divided into 5 session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constructivist learning to self-directed learning, the basis of our whole society recently is sweeping the human center solutions to problems applying the philosophy of coaching. So each session is made up of the application of the 6 Levels of Active Coaching conversation created by KCA. Mathematical communication learning was applied in accordance with detailed contents required in each level.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학습코칭 프로그램
  2. 수학적 자기효능감 개념
  3. 수학적 의사소통 학습
 Ⅲ. 연구방법
  1. 연구절차수학적
  2. 수학적 의사소통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구성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저자
  • 박은경(박은경 학습코칭연구소 소장) | Park, Eun-Kyoung
  • 도미향(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