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왕산국립공원의 탐방로 훼손현황과 환경피해도 평가 KCI 등재

Assessment of Impact Rating Class and Deterioration Condition on the Trails in Juwangsan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4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의 주요 탐방로의 물리적 상태, 훼손 유형 및 환경피해도를 평가함으로써 탐방로의 유지관리와 복원을 위해 수행되었다. 주요 탐방로는 주봉 구간, 가메봉 구간, 장군봉~금은광이 구간, 월외 구간 등 4개 구간이다. 노선길이의 경우 주봉 구간 4.6㎞, 가메봉 구간 3.6㎞, 장군봉~금은광이 구간 5.6㎞, 월외 구간 5.9㎞이다. 물리적 상태의 경우 노폭은 주봉 구간이 가장 넓었고 장군봉~금은광이 구간이 가장 좁았다. 나지폭은 주봉 구간이 가장 넓었고 장군봉~금은광이 구간이 가장 좁았다. 침식깊이는 가메봉 구간이 가장 깊었고 월외 구간이 가장 얕았다. 경사는 장군봉~금은광이 구간이 가장 급했고 가메봉 구간이 가장 완만하였다. 토양경도는 가메봉 구간이 가장 높았고 월외 구간이 가장 낮았다. 훼손유형 출현 횟수의 경우 주봉 구간 71회, 가메봉 구간 62회, 장군봉~금은광이 구간 63회, 월외 구간 78회로 나타났다. 환경피해도의 경우 노면침식은 Ⅰ등급과 Ⅱ등급이 유사하였으며, 나머지는 Ⅰ등급이 대체적으로 많기 때문에 건전한 상태인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탐방로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요소를 고려한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훼손된 탐방로는 주변 환경과 생태계를 고려한 복원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intain, manage and restore the trails by assessing the physical conditions, the patterns of deterioration and the impact rating class of the major trails of Juwangsan National Park. The major trails followed 4 routes including Jubong, Gamaebong, Janggunbong~Geumeungwangi and Woloe. The route length of Jubong was 4.6 ㎞; it was 3.6 ㎞for Gamaebong, 5.6 ㎞for Janggunbong~Geumeungwangi and 5.9 ㎞for Woloe. As for the physical conditions, Jubong was the widest and Janggunbong~Geumeungwangi was the narrowest in trail width. In terms of the bared trail width, Jubong was the widest and Janggunbong~Geumeungwangi was the narrowest. As for the depth of erosion, Gamaebong was the deepest and Woloe was the shallowest. Janggunbong~Geumeungwangi was the steepest and Gamaebong was the gentlest in the slope. Further, Gamaebong showed the highest soil hardness, and Woloe had the lowest hardness. In terms of the times of appearance of deterioration patterns, Jubong recorded 71 times, Gamaebong 62 times, Janggunbong~Geumeungwangi 63 times and Woloe 78 times. In case of the impact rating class, the trail erosion was similar to grades Ⅰand Ⅱgrade; the rest were mostlyⅠgrade and hence considered to be in a generally good condition. For the ongoing management of trails, a comprehensive study needs to be conducted in the light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lso, a restoration plan for damaged trails should be established with consideration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cosystem.

저자
  • 남엽(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Yeop Nam
  • 유주한(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Ju-Han You 교신저자
  • 허상현(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Sang-Hyun H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