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침샘의 기능평가에서 핵의학 검사의 표준화된 정보제공의 유용성 연구 KCI 등재

The Study on Usefulness of the Standardized Information of Nuclear Medicine Scan in Function Evaluation of the Salivary Glan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804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테크네슘을 이용한 침샘검사의 시간-방사능 곡선에서 다양한 기능매개변수지표를 획득하여 환자 군과 건강한 정상군과의 비교를 통해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구강 건조증으로 침샘검사를 시행한 환자군 30명과 건강한 정상군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99mTc-과산화테크네슘 370 MBq을 정맥으로 주사 후 20분에 비타민C 파우더를 입안에 투여하여 10분 동안 촬영하였다. 분석방법은 귀밑샘과 턱밑샘의 관심영역을 정하여 시간-방사능 곡선을 그린 후 곡선의 각 위치에서 다양한 기능매개변수 지표를 획득하고, 구강 건조증 환자군와 정상군을 비교하였다. 비교 및 측정에 적용된 방법으로는 섭취율(uptake ratio, UR), 최대 방사능 시간(time at maximum counts, Tmax), 최소 방사능 시간(time at minimum counts, Tmin), 최대 축적율(maximum accumulation, MA), 축적속도(accumulation velocity), 최대 배출율(maximum secretion, MS), 최대 자극 배출율(maximum stimulation secretion, MSS), 배출속도(secretion velocity, SV)를 사용하였다. 환자군과 정상군간의 기능매개변수지표 비교에서 환자군의 최소 방사능 시간(Tmin)을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건강한 정상군이 환자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시간에 따른 변화량에서도 정상군이 환자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침샘검사에서 다양한 기능매개변수지표를 이용한 정량분석은 구강 건조증 환자의 침샘 기능을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정보로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through the comparison of patients group and healthy control group by acquiring a variety of functional parameters index from time-activity curves of salivary gland scan using 99mTc-pertechnetate.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5, had the targets of 30 patients with dry mouth and 10 people in healthy control group underwent the salivary gland scan.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370 MBq of 99mTc-pertechnetate, Vitamin C powder stimulation was administerd orally at 20 min and then 10 minutes were taken scan.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was as follows, the time-activity curve was drawn after the parotid gland and submandible gland were prescribed as a region of interest, a variety of function parameters index was obtained in each position of the curve, and the patient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As for the methods applied in comparison and measurement, uptake ratio (UR), time at maximum counts (Tmax), time at minimum counts (Tmin), maximum accumulation (MA), accumulation velocity, maximum secretion (MS), maximum stimulation secretion (MSS), and secretion velocity (SV) were used. In the comparison of functional parameters index of patient group and normal group, the healthy norm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atient group in all indices except for the minimum radioactivity time (Tmin), and also in terms of variation over time the norm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atient group (p<0.05). Consequent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quantitative analysis that used a variety of function parameters index would be useful for evaluating the function of the salivary glands of the patients with dry mouth as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informa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EXPERIMENTAL METHOD
  1. 연구대상
  2. 영상획득방법
  3. 분석방법
  4. 통계분석
 Ⅲ. RESULT
  1. 귀밑샘에서의 측정 결과값
  2. 턱밑샘에서의 측정 결과값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
저자
  • 표성재(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Sungjai Pyo
  • 한재복(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Jaebok Han
  • 최남길(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Namgil Choi Corresponding Author